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건축 설계 디자인 방법론 연구 : 집합적 구축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architectural design methodologies utilizing biological systems - Focusing on the collective way of building -
- 주제(키워드) 생물학적 시스템 , 집합적 건축
- 주제(DDC) 72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전유창,김성욱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스마트융합건축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74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건축 설계 디자인 방법론 연구 - 집합적 구축 방식을 중심으로 - 현대 건축에서 공간을 해석하는 의미는 단일한 개별 요소의 역할에서 상호 작용하는 유기적인 대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공간이 서로 어떻게 상호 연관되는지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집합적 건축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집합적 공간은 그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으며, 특히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건축은 공간이 결합되는 여러 방식 중 하나이다. 자연이 발생하고 성장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건축에 접목하는 방법론으로, 공간이 결합하는 방식에 적용하면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한 집합적 건축을 디자인하는 새로운 설계 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시스템이 가지는 특징들과 집합적 건축의 구축 방식을 접목시킨 디자인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 건축은 과거 형태만 모방하는 건축에서 공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하는 디자인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집합적 특성을 가진 패턴과 구조를 활용한 생체모방, 자기조직화 그리고 계통 발생식 교배를 소개한다. 각각의 유형들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고 특징을 가진 건축 사례와 함께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 설계 디자인을 구축하는 방법에 적용하고자 한다. 디자인 실험에서는 각 모듈이 자기조직화를 통하여 증식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입체화한 모듈의 형태와 유형을 분류하고 각 모듈의 교배를 통해 다음 세대의 모듈을 형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건축 디자인 방법론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more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
2. 생체모방과 생물학적 시스템의 이해 5
2.1 생체모방의 이론 및 배경 5
2.1.1 생체모방을 적용한 디자인 12
2.1.2 근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생체모방 건축 16
2.1.3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생체모방 건축 19
2.2 생물학적 시스템과 특성 22
2.2.1 자기조직화 23
2.2.2 패턴 구조 28
2.2.3 계통 발생식 교배 33
2.3 소결 35
3. 집합적 건축의 이해 37
3.1 집합적 건축의 정의 및 특징 37
3.2 집합적 건축의 결합방식 39
3.2.1 객체 중심 결합의 집합적 공간 40
3.2.2 영역 중심 결합의 집합적 공간 43
3.2.3 객체와 영역 결합 중심의 집합적 공간 46
3.3 소결 49
4.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집합적 건축 51
4.1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집합적 건축 51
4.1.1 자기조직화의 집합적 구축 55
4.1.2 패턴 구조의 집합적 구축 62
4.1.3 계통 발생식 교배의 집합적 구축 67
4.2 소결 74
5. 생물학적 시스템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실험 76
5.1 실험의 배경 및 목적 76
5.1.1 실험 시나리오 78
5.2 디자인 실험 80
6. 결론 85
7. 참고문헌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