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원시성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건축의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imitive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 on the Expressive Techniques in Digital Architecture -

초록/요약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원시성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건축의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 현대 건축은 다양한 이념과 발전된 기술들로 기존 체계를 바탕으로 선진 건축가들이 새로운 시도를 건축에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자연과 인간, 건축 사이의 관계를 재정의 또는 재해석하는 건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디지털 기술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건축의 패러다임을 급격히 변화시킨 요소 중 하나로 비선형 디자인, 알고리즘, 인공지능 등 다양한 도구를 통해 건축의 표현 양상을 다원화하였다. 이 중 원시성(Primitiveness)의 표현은 지역주의 또는 물성과 더불어 새롭게 조명되어 과거 토착 건축의 표현 양상과 함께 현대에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활성화되고 있다. 원시 건축은 사전적으로 문명화 과정 이전의 건축을 말하지만, 건축적으로는 건축의 기원으로서 자연과 인간 사이에 있는 건축의 정체성, 원시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시성은 과거 로지에(Laugier)의 고대 원시 오두막부터 현대 건축의 재료의 물질성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체 모방 건축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양상으로 보여지는 현대 건축에서의 원시성은 많은 표현과 그에 따른 구축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건축에 나타난 원시성의 표현은 토속 건축에서의 물질성이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체계화할 수 있고, 각 표현에 따른 원시성의 구축 기법은 디지털 건축의 표현 기법으로 새로운 건축 프로세스로서 정의할 수 있다. 현대 디지털 건축의 표현 기법은 불완전한 형태와 유기적인 표면의 생성과 변형, 불규칙한 집합적 구성 그리고 재료의 디지털 물성의 효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시성 표현 체계화 및 구축 기법을 활용하여 원시성을 건축적 측면에서 인간과 자연, 건축 사이의 관계를 재정의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건축 전략의 개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건축에서 원시성에 대한 이론적 의의를 고찰하고, 사례를 통해 디지털 기술로 구현된 현대 건축의 원시성의 표현 기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원시성의 표현 기법은 형태, 표면, 집합, 물성으로 체계화할 수 있었다. 그리고 건축 디자인 실험을 통해 하나의 설계 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에서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원시성의 표현 기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과 원시적 건축의 상호작용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선행 연구 2
1.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2. 원시성 6
2.1. 원시성 이론적 고찰 6
2.1.1. 원시의 정의 6
2.1.2. 원시성의 사회 문화적 의의 8
2.2. 건축에서의 원시성 11
2.2.1. 건축에서의 원시성 역사 11
2.2.2. 원시성에 나타난 건축적 특성의 의의 17
2.3. 현대 건축에서의 원시성 표현 기법 20
2.3.1. 브루탈리즘(Brutalism)의 원초적 이미지 원시성 21
2.3.2. 재료의 물성(Materiality)을 활용한 원시성 24
2.3.3. 토착문화를 재해석한 원시성 27
2.3.4. 디지털적 원시성 30
2.4. 소결 33
3. 디지털 기술과 원시성 35
3.1. 디지털 기술의 표현 양상 35
3.1.1. 자유로운 형태(Free-Form) 디자인의 표현 체계 39
3.1.2. 파라메트릭(Parametric) 디자인의 표현 체계 40
3.1.3. 디지털 제작 기술(Digital Fabrication)의 표현 체계 41
3.1.4.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물성의 표현 체계 42
3.2. 디지털 기술과 원시적 건축의 표현 기법 43
3.2.1. 불완전한 형태의 생성과 변형 44
3.2.2. 유기적인 표면 49
3.2.3. 불규칙한 집합적 구성 54
3.2.4. 재료의 디지털 물성의 효과 59
3.3. 소결 64
4. 원시성 표현 기법을 활용한 디지털 건축 디자인 실험 67
4.1. 디자인 실험의 개요 67
4.2. 디자인 실험 워크플로우 68
4.3. 디자인 실험 70
4.3.1. 디지털 형태 추출 70
4.3.2. 유기적인 표면 모듈 생성 80
4.3.3. 모듈의 불규칙한 집합적 구성 82
4.3.4. 3D Printing을 활용한 원시성 구현 84
4.4. 디자인 실험의 구축 : 지질학박물관 85
5. 결론 90
6. 참고문헌 9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