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정학적 리스크 하 기업외교 : 삼성 반도체 사례를 중심으로

Corporate Diplomacy and Geopolitical Risk - The Samsung Semiconductor Case -

초록/요약

미중 기술패권 경쟁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심화시키며, 한국 반도체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 유지에 중대한 도전 과제로 부상하 고 있다. 반도체는 단순한 경제적 자산을 넘어 국가 안보와 글로벌 경쟁에서 핵심적인 전략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경쟁 구도 속에서 기업외교를 통 해 한국 반도체 기업이 리스크를 관리하고 생존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되 고 있다. 본 연구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 초래한 주요 리스크를 규명하고, 기업외교를 효과적인 대응 전략으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삼성 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매출 구조 변화, 투자 전략 전환, 경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기업외교가 지정학적 리 스크 완화의 전략적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연구는 다음의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 초래한 주요 리스크는 무엇인가? 지 정학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완화하기 위한 기업외교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기능 할 수 있는가? 삼성전자의 사례가 다른 기업과 산업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 가? 사례연구와 정성적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미국과 중국의 1차 자료, 기업 공개보고서, 비공식 인터뷰, 연구자의 경험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 구 대상인 삼성전자는 미국과 중국에서 각각 차별화된 기업외교 전략을 실행하 며 지정학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어 적합한 사례로 선정되었다. 정량적 데이 터 분석은 미중 매출 비중 변화와 연도별 로비액 추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 다. 삼성전자는 미국에서는 파운드리 공장 투자와 로비 활동을 통해 공급망 안 정성과 사업성을 확보하고, 중국에서는 대정부 협력과 CSR 활동을 통해 잠재 적 리스크를 관리하며 사업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기업외교가 단순히 대관 업무를 넘어 중장기 투자, 조달, 판매 전략까지 통합하는 경영전략으로 발전해야 함을 강조하며, 글로벌 기술패권경쟁 속 한국 반도체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기업외교를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발전시키며, 삼성 전자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정부와 기업 간 협력 체제, 배터리 및 바이오 같은 첨단 산업에도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 공한다. 기업외교를 학문적 개념에서 실질적 경영전략으로 발전시키며, 글로벌 기술패권경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상황에서 그 효과성을 입증한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공헌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삼성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모든 다국적 기업 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업외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지 못했으며, 구체적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업과 산업 사례를 포함해 연구를 확장하고,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기업외교의 효과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정부-기업 협력 체계와 실행 모델을 심화하여 반도체 외 첨단 산업에도 적용 가능한 실효성 있는 전략을 설계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키워드: 지정학적 리스크, 기업외교, 삼성전자, 미중 기술 패권, 반도체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배경 1
2. 선행연구 5
2.1 리스크 대응 전략으로서의 기업외교 5
2.2. 미·중 경쟁으로 인한 반도체 영향 9
2.3. 국가와 기업 간의 관계 13
3. 연구 대상 및 방법론 15
3.1 연구 대상 15
3.2 연구 방법론 17
Ⅱ.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업외교 20
1. 지정학적 리스크 20
1.1 지정학적 리스크 정의 20
1.2 현 지정학적 리스크 특성 23
1.3 지정학적 리스크 지표 25
2. 기업외교 30
2.1 기업외교 정의 30
2.2 기업외교 내용 35
2.3 기업외교 성과 평가 36
3. 소결 39
Ⅲ.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41
1. 미·중 기술패권 경쟁 41
1.1 미국의 대중 인식 41
1.2 중국의 대미인식 45
2. 미국의 반도체 제조 리쇼오링 정책과 대중 제재 49
2.1. 미국 반도체 제조 리쇼오링 정책 49
2.2. 반도체 관련 주요 회의 내용 55
2.3 미국의 대중 제재 59
2.4 다자간 협력 체제 65
3. 중국의 반도체 산업정책 및 미국 제재에 대한 중국 대응 68
3.1 중국 반도체 산업정책 68
3.2 반도체 국가 기금 71
3.3 미국 제재에 대한 중국의 대응 74
3.4 중국의 기술 자립론 77
4. 소결 80
Ⅳ. 미·중 경쟁이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 82
1. 미·중 반도체 경쟁 시나리오 82
2. 삼성전자에 미치는 지정학적 영향 86
2.1 미국 대중제재로 인한 영향 86
2.2 미국 반도체 제조 리쇼오링 정책에 따른 영향 89
2.3 중국의 대미 제재 대응에 따른 영향 92
2.4 양안 갈등과 칩4 가입에 따른 영향 96
3. 미중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 98
3.1 TSMC 98
3.2 SMIC 102
3.3 인텔 104
4. 반도체 기업별 리스크 및 미·중 매출 비중 변화 분석 107
4.1 기업별 리스크 비교 분석 107
4.2 기업별 미·중 매출 비중 변화 추이 109
5. 소결 114
Ⅴ. 반도체 기업의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 방안 116
1. 투자 전략 전환 116
1.1 리쇼어링 116
1.2 니어쇼어링 118
1.3 프렌드쇼어링(얼라이쇼어링) 120
2. 판매, 조달 전략 전환 122
2.1 제재 준수 122
2.2 사양 조정 124
2.3 사재기와 비축 126
2.4 국산화 추진 128
3. 대정부 활동(로비) 131
3.1 중국 대정부 활동 131
3.2 미국 로비 134
4. 전략적 CSR 138
5. 소결 141
Ⅵ. 삼성 반도체 기업외교 현황 143
1. 글로벌 진출 현황 143
1.1 중국 진출 144
1.2 미국 진출 150
1.3 중국, 미국 진출 과정 비교 154
2. 중국에서 기업외교 156
2.1 대정부 활동 156
2.2 FDI 활용 161
2.3 전략적 CSR 165
3. 미국에서의 기업외교 168
3.1 로비 168
3.2 FDI 활용 173
4. 기업외교 주요 성과 175
5. 소결 182
Ⅶ. 결 론 184
1. 지정학적 리스크 하 한국 반도체 지속 가능 전략 184
2. 연구의 학문적 의의 186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 방향 187
참고문헌 190
Abstract 23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