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역량이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of Middle-aged Entrepreneur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

초록/요약

세계적인 고용시장 위축의 문제로 높은 실업률, 저출산, 인구의 고령화 문제가 장기적 성장 잠재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중장년 창업은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른 연령대에 비 해 높은 생존율과 경제적 성과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자원 기반 관점에서 풍부한 업무 전문 지식, 네트워크 등을 보유하여 창업 초기 도전을 극복하고 기업의 안정성과 성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자원은 특히 중요한 요소이며 정부와 관련기관에서는 중장년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 하고 있으므로 중장년 창업가에 집중하여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이를 위 한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창업 결정 과정, 창업 의도에 관한 연구, 기업가 정신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중장년 창업가들이 역량과 지 식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창업을 이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이들의 개인적 특성이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 여 창업역량이 이러한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성과의 질과 창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 다. 본 연구는 중장년 창업가의 속성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으로 나누어 기업성과 간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이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중장년 창업가의 개 인적 특성, 창업역량,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상관관계가 있을까. 셋째,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업 역량의 조절 효과가 있을까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수도권 지역에 있는 기 술 기반 창업기업의 중장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251부를 가지고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역량, 그리고 기업 성과 간의 상호관계 및 조절 효과를 포함하여 통계분석 처리하였다. 궁극적으 로 기술 분야에서 중장년 창업가의 성공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고 정책 입안자에게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며 성과에 영향을 주는 실질적인 정책에 기 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단계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한 제시된 속성을 개념화하고 필요한 구성 요인을 구분하여 정리하였 다. 2단계로 수도권에 있는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중장년 창업가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고 설문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평균분석을 통해 중장년 창업가의 성향을 파악하였다. 3단계로 그 결과를 분석(신뢰도, 기술통 계,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 하여 타당도 여부를 확인하였고 개인적 특성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창업역량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단계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차별성과 연구 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 절차를 통하여 개인적 특성은 Big 5 모델인 외향성, 성실성, 친화 성, 신경증, 개방성의 구성 요인으로 정하였으며 사회적 네크워크는 크기와 강 도의 구성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창업역량은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으로 구 분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중장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정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경험과 역량이 풍부한 중장년 창업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 내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성 요인인 크기와 강도는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인적 특성의 구성 요인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은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상 관관계가 있었다. 창업역량의 구성 요인인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은 기술 기 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의 구성 요인인 친화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역량 은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기술적 역량의 평균 이상, 평균, 평균 이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평균 이하 집단에서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이상, 평균 집단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나 평균 이상 두 집단의 기술적 역량에서 친화성이 증가할수록 성과도 증가하 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성실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역량이 조절효 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적 역량에서 성실성이 증가할수록 성과에도 증 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개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역량이 조 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적 역량에서 개방성이 증가할수록 성과에 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크기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역량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나 창의적 역량에서 크기가 증가할수록 성과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 다. 외향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역량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 인이 되었다. 세 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역량에서 외향성이 증가할수록 성과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신경증과 성과 간의 관 계에서 창의적 역량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세 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역량에서 신경증이 증가할수록 성과에도 증가하 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개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역량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평균 이하 집단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이상 두 집단에서는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나 평균 이상 집단의 창의적 역량에서 개방성이 증가할수록 성과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개인적 특성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업역량의 조절 효과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시사점을 제시하면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핵 심 자원인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을 적용하여 창업가 역량에 대한 통합적 개념 의 연구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장년 창업가의 이러한 특징을 살려 인 적자원 이론 중심으로 자원 기반 관점에서 중장년 창업가가 가진 자원과 사회 적 네트워크, 개인의 특성 등 중장년 창업가에 집중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그리하여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성공을 결 정하는 데 있어 개인적 특성과 창업가적 역량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는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및 개 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들의 창업역량 강화를 통해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기술 분야에서 중장년 창업가의 성공 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책입안자 및 이해 관계자에게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여 이론적 의미뿐만 아니라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어 기술 기반 창업생태계 구축과 활성화에 기여 하고자 한다.

more

목차

제 1장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8
3. 연구의 구성 9
4. 연구 범위 및 방법 10
제 2장 이론적 고찰 12
제 1절 기술 기반 창업기업 12
1.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정의 12
2. 기술 기반 창업기업성과 영향 요인 17
제 2절 중장년 창업 32
1. 중장년 창업의 국내 사례 32
2. 중장년 창업의 해외 사례 35
제 3절 개인적 특성 41
1. 개인적 특성의 정의 41
2. 중장년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맥락적 상황 44
3. 개인적 특성의 구성 요인 46
제 4절 중장년 창업가의 기저 이론 66
1. 인적자본이론(자원 기반 관점) 66
2.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 73
제 5절 창업역량 78
제 3장 연구 방법 84
제 1절 연구 대상 84
1. 사회적 네트워크 응답자 설문 문항 분석 87
2. Big 5 모델(FFM) 응답자 설문 문항 분석 88
3. 창업역량 응답자 설문 문항 분석 91
4.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응답자 설문 문항 분석 92
제 2절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93
1. 개인적 특성과 창업역량 간의 관계 94
2. 개인적 특성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 96
3. 창업역량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과 간의 관계 100
제 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102
1. 선행연구조사 102
2. 변수 간 요인분석 102
제 4절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114
제 4장 연구 결과 117
제 1절 변인 간의 기술통계 117
제 2절 변인 간의 상관관계 118
제 3절 개인적 특성과 성과 간 창업역량 조절 효과 120
제 5장 결 론 145
제 1절 연구 결과 요약 145
제 2절 연구의 시사점 151
제 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53
참고문헌 156
부록 1. 설문지 181
ABSTRACT 18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