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 있-’의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eo is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보조용언 구성 ‘-어 있-’의 문법적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동사 어휘 목록을 활용하여 문법 항목 ‘-어 있-’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 있-’은 타동사와 결합하지 못하고 종결성이 있는 자동사와 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결합 제약은 학습자에게 전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용언 구성의 용언 결합 제약이 구문의 논항 구조 및 ‘-어 있-’의 상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보조용언 구성인 ‘-어 있-’의 통사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서 상 범주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며 상 형식 ‘-어 있-’의 의미적 특성을 설명하였다. ‘-어 있-’은 연속 동사 구성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성격은 합성 용언과 가까운 것이 많으며 문장에서 단일한 서술어처럼 기능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어 있-’은 결과 지속을 나타내며 이는 결과상의 국면과 관련이 있다. 3장에서는 보조용언 구성 ‘-어 있-’의 결합 제약을 밝히고 선행하는 본용언의 유형에 따른 결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문의 논항 구조에서 기인한 타동사 결합 제약과 용언의 상적 특성에 따른 비종결성 동사 결합 제약을 다양한 동사에 적용하여 ‘-어 있-’의 결합 양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어 있-’과 관련된 문법 항목인 ‘-고 있-’, ‘-었-’의 결합 특성과 각각 비교하며 문법 요소들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결합 제약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자료와 교재에 나타난 어휘 및 ‘-어 있-’ 항목을 분석하였다. ‘-어 있-’의 결합 여부를 기준으로 한국어 교육용 어휘 2,218개를 분류하고, 이를 문법 항목의 교육에 반영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타동사 결합 제약과 종결성 자질과 같은 이론적 논의는 문법 교육에서 ‘-어 있-’의 통사적 및 의미적 특성을 포함한 교육 방안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보조용언 구성 ‘-어 있-’은 사용 빈도가 높으면서 결합 제약이 까다롭다는 특성이 있어서 이와 결합하는 구체적인 용언의 예시를 보이고 동사의 분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는 품사 분류와 의미 자질에 관한 논의를 활용하여 결합 용언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 있-’의 결합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문법 항목 교육의 난점을 해소하는 제반 이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eo iss-’ and suggest teaching methods using a list of Korean vocabular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o iss-’ combines with intransitive telic verbs but not with transitive verbs, which poses difficult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se constraints are attributed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aspectual characteristics of ‘-eo i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Chapter 2 explore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o iss-’ and discusses its semantic features in the context of aspect. While ‘-eo iss-’ resembles a serial verb construction, it functions as a composite verb that forms a single predicate. It signifies the continuation of a result, aligning with the resultative aspect. Chapter 3 analyzes the constraints of ‘-eo iss-’ and its combinatorial patterns based on the type of preceding main verbs. Constraints on transitive and atelic verbs are attributed to argument structure and aspectual properties, respectively. The study also compares ‘-eo iss-’ with related forms, such as ‘-go iss-’ and ‘-eoss-’, to ident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 behind these constraints. Chapter 4 examines educational materials and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t categorizes 2,218 verbs based on their compatibility with ‘-eo iss-’.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transitivity constraints and telicity are integrated into teaching methods that emphasi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eo iss-’. Given the frequent use of ‘-eo iss-’ and the difficulty of explaining its constrai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example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A comprehensive verb list was created by analyzing word classes and semantic features, providing a detailed examination of ‘-eo iss-’ combinations. These findings offer practical solutions for teaching grammar and addressing learner challenges.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4
1.3. 연구 방법 6
2. 이론적 논의 8
2.1. 보조용언 구성으로서의 '-어 있-' 8
2.2. 상(相) 형식으로서의 '-어 있-' 15
2.2.1. 문법상과 어휘상 15
2.2.2. '-어 있-'의 상 19
3. '-어 있-'의 문법적 특성 23
3.1. '-어 있-'의 결합 제약 23
3.1.1. 논항 구조에 의한 제약 23
3.1.2. 상적 특성에 의한 제약 26
3.2. '-어 있-'의 결합 양상 30
3.2.1. 일반 자동사와 '-어 있-'의 결합 양상 30
3.2.2. 피동사 및 피동 구성과 '-어 있-'의 결합 양상 32
3.3. 관련 문법 항목과의 비교 38
3.3.1. '-고 있-'과의 비교 38
3.3.2. '-었-'과의 비교 45
4. '-어 있-'의 교육 자료 분석 및 교육 방안 52
4.1. '-어 있-'의 교육 자료 분석 52
4.2. '-어 있-'의 교육 방안 63
5. 결론 73
참고문헌 76
부록 8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