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관의 학습지원환경이 사회복지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 주제(키워드) 사회복지사 재교육 , 학습지원환경 , 자기주도학습 , 직무성과
- 주제(DDC) 35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하경희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C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48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오늘날 사회복지 정책의 비중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복지 서비스의 질을 높 이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 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재교육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실효성과 관련된 연 구에 따르면, 업무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훈련은 업무 과중으로 인해 형 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재교육 과정에 서 기관의 학습지원환경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학습지원환경을 독립변수로, 직무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을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 구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인식 하는 기관의 학습지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도 높을 것이다. 둘째, 사 회복지사가 인식하는 기관의 학습지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능력 이 높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도 높을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해 연구 대상을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 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사회복지사로 설정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응답 지 총 175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이 사용되었다. 매개 효과 분석은 Baron & Kenny(1986)가 제 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 다. 위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 재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육 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상급학교 진학에 필요한 지원은 낮은 수준 에 머무르고 있었다. 또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보상이 미비한 실정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는 소속기관의 학습지원환경 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속기관의 학습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역량이 강화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지원환경과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주도학습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복지기관의 학습지원환경을 높게 인식할수록 사회복지사는 학습에 대한 주도성 을 발휘하고, 나아가 직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논의할 수 있는 제 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종사자의 학 습 동기 발휘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교육 및 훈련은 자기주도성을 발휘하여 임할 때 학습의 효과가 증가한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은 단순히 교육 정보 제 공과 전달이 아닌,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도출될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조성해 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업무에 적용할 경우, 적절한 보상 을 제공해야 한다. 사회복지사에게 보상은 학습에 대한 또 다른 동기가 될 수 있으므로 기관 차원에서 내·외부적 보상과 강화를 통해 학습 동기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상급학교 진학 및 원하는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 기관에서는 종사자의 전문적 역량 강화와 만족도 높은 학습 결과를 유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스스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more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직무성과 4
1. 직무성과의 개념 4
2.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제2절 자기주도학습 10
1.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10
2.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 12
제3절 학습지원환경 13
1. 학습지원환경의 개념과 특징 13
2. 사회복지기관 학습지원환경의 현황 및 중요성 14
제4절 학습지원환경, 자기주도학습, 직무성과 간의 관계 17
1. 학습지원환경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17
2. 자기주도학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18
제3장 연구 방법 19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19
1. 연구 모형 19
2. 연구 가설 21
제2절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2
제3절 측정 도구 23
1. 학습지원환경 23
2. 자기주도학습 24
3. 직무성과 25
4. 사회복지 재교육 실태 및 일반적 특성 26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27
제4장 연구 결과 28
제1절 조사 대상자의 특성 28
1. 일반적 특성 28
2. 조사 대상자 소속기관의 특성 30
3. 사회복지사 재교육 경험 32
제2절 주요 변수의 특성 35
1. 학습지원환경 35
2. 자기주도학습 39
3. 직무성과 40
제3절 주요 변수 간의 상관분석 41
제4절 학습지원환경이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설검증 43
1. 학습지원환경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43
2. 학습지원환경이 사회복지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45
3. 학습지원환경 및 자기주도학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47
4.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분석 49
5. 가설검증 결과 51
제5장 결론 5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53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56
참고문헌 59
부록 65
Abstract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