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운전 열차의 최적 운전시격 연구
Study on the optimal headway of driverless train
- 주제(키워드) 무인운전 , 운전시격 , 최소운전시격
- 주제(DDC) 625.1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 지도교수 이철기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통ITS대학원 철도시스템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41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최근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경전철, GTX(Great Train eXpress) 등 여러 신규 철도 노선들이 건설되고 있다. 특히 최근 건설되는 경전철은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무인운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많은 수송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한된 선로에 최대한 많은 열차 편성을 투입하는 추세이다. 제한된 선로에 많은 열차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열차가 연속해서 운행되는 시간 간격을 줄여야 한다. 열차의 운행 간격을 운전시격(Headway)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선행열차와 후속열차 간의 운전을 위한 배차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운전시격이 중요한 이유는 열차 운행 계획에 따라 수송소요가 정해지고 정해진 수송소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목표 운전시격을 만족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운전시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열차길이, 열차속도, 제동거리, 안전마진 등이 있으며, 운전상황(역간, 역내, 회차) 중 속도가 있는 모든 지점에서 계산된다. 도출된 값 중 가장 최대로 되는 값을 해당 노선의 최소운전시격이라고 한다. 수송소요에 따른 운전시격이 정해지면 역간(interstation) 운행 시, 역(station) 진입 시, 회차(turn-back) 시의 운전시격을 계산하여 계산값 중 가장 큰 값이 해당 노선의 최소운전시격이 되고 계산된 최소운전시격 값이 목표 운전시격에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특히 열차가 종착역에 도착 후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회차는 운전시격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바 본 논문을 통해 운행 노선에서의 최소운전시격을 분석하여 보고 운행 효율 향상을 통한 최소운전시격의 최적화 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more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2
제3절 연구의 수행과정 4
제2장 관련 이론 고찰 5
제1절 운영 노선 목표 운전시격의 결정 5
제2절 이동폐색 운전시격의 계산 11
제3장 운전시격의 종류 26
제1절 역간 운전시격(Interstation headway) 27
제2절 역 운전시격(Station headway) 29
제3절 회차 운전 시격(Turnback headway) 31
제4장 운전시격 적용 사례 38
제1절 운전시격 분석을 위한 운행노선의 선정 38
제2절 역간 운전시격의 계산 40
제3절 역 운전시격의 계산 47
제4절 회차 운전시격의 계산 50
제5절 소결 58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9
참 고 문 헌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