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주제(키워드) 공감 , 대인관계반응성지수 , 의사소통능력 , 감성역량 , 간호대학생 , 공감 교육프로그램
- 주제(DDC) 610.73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진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18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공감 교육프로그램이 대인관계반응성지수, 의사소통능력, 감성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공감 교육프로그램은 순환적 공감모형을 개념적 기틀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은 교수학습 설계의 ADDIE모델을 적용하였다.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모듈과 암환자의 질병체험 내러티브의 모의환자를 대상으로 공감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구성하였고, 간호대학생이 실제 임상현장의 대상자와의 관계에서 치료적 의사소통기술을 훈련하며 공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효과평가는 G도에 소재하는 P시와 Y시의 간호학과 4학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로 시행되었다. 실험군은 주 1회 90분의 8회기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7.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및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되었다. 공감 교육프로그램 시행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인관계반응성지수(F=4.30, p=.016), 의사소통능력(F=9.34, p<.001), 감성역량(F=6.41,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본 공감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반응성지수, 의사소통능력, 감성역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more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가설 3
D.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공감의 개념과 구성요소 7
B. 간호대학생의 공감 12
C.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14
D. 순환적 공감모형 19
Ⅲ. 개념적 기틀 23
Ⅳ. 연구방법 26
A.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개발 26
B.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효과평가 39
Ⅴ. 연구결과 47
A.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개발 47
B.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효과평가 67
Ⅵ. 논의 92
A.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개발 92
B.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프로그램 효과평가 96
C. 연구의 제한 점 101
D. 연구의 의의 102
Ⅶ. 결론 및 제언 104
참고문헌 105
부 록 127
ABSTRACT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