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유형 분석
- 주제(키워드) 외벌이 , 아버지 , 양육스트레스 , 척도 개발 , 척도 타당화
- 주제(DDC) 15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은하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0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외벌이 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인 외벌 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Scale for Single-Income Father; PSSSIF)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유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PSSSIF는 외벌이 아버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배우자/양육파 트너와의 관계 및 특성에 관한 요인, 양육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에 관한 요인, 아이와의 관계 및 특성에 관한 요인,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에 관한 요인 등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연구 1에서는 외벌이 아버지가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 색하기 위해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척도의 구성개념으로 예상되는 4개의 하위요인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 를 만들었으며, 만 6세 이하의 영유아를 양육하는 외벌이 아버지 표본 1(N=100)에게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집했다. 연구 결과, 외벌이 아버지 가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17개의 영역과 6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 다. 연구 2-1에서는 연구 1의 결과와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고, 내용 타당도를 거쳐 최종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예비 문항은 각각 배우자/양육파트너와의 관계 및 특성에 관한 16문항, 양육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에 관한 14문항, 아이와 의 관계 및 특성에 관한 15문항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에 관한 19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척도의 요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1과 동일한 조건의 표본 2(N=250)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의 하위요인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예상 하는 것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배우자/양육파트너와의 관계 및 특 성 10문항, 양육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10문항, 아이와의 관계 및 특성 8문 항,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2-2에서는 연구 1, 2-1과 동일한 조건의 표본 3(N=250)으로 요인 구조를 재확인하고 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했다. 먼저, 연구 2-1에서 확인한 4요인 구조 를 재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연구 2-1과 동일하 게 4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PSSSIF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PSSSIF 는 양육스트레스 척도 및 결혼만족도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양육 스트레스와 무관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드 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PSSSIF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검증되었음을 의미한 다. 마지막으로,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PSSSIF는 우울과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적절한 준거관련 타당도가 있음을 검증했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2와 동일한 표본 3(N=250)으로 외벌이 아버지가 양육스 트레스를 경험할 때 나타나는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본 척도의 4요인을 기준으 로 군집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낮은 양육스트레스 집단’, ‘관계적 양육스트 레스 집단’, ‘높은 양육스트레스 집단’, ‘일상-양립 양육스트레스 집단’ 등 4군집 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외벌이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 및 타당화 된 PSSSIF가 신뢰할 수 있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벌이 아버지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4가지 유형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했다. 주요어 : 외벌이,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척도 타당화
more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선행 연구 4
3. 연구 목적 11
Ⅱ. 이론적 배경 14
1. 양육스트레스 14
가. 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14
나. 양육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16
2.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20
가.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20
나.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의 연구 현황 25
다.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와 관련 변인들 31
3. 기존 양육스트레스 척도 34
가. 기존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종류 34
나. 기존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한계점 44
4. 외벌이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구성 요소 46
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46
나. 배우자/양육파트너와의 관계 및 특성 54
다. 양육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56
라. 아이와의 관계 및 특성 59
Ⅲ. 연구 문제 및 개요 62
Ⅳ. 연구 1.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63
1. 연구 방법 63
가. 연구 대상 64
나. 연구 절차 67
2. 연구 결과 72
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72
나. 배우자/양육파트너와의 관계 및 특성 76
다. 양육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80
라. 아이와의 관계 및 특성 83
3. 연구 논의 88
Ⅴ. 연구 2-1.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95
1. 연구 방법 95
가. 문항 개발 과정 95
나. 연구 대상 99
다. 연구 도구 102
라. 연구 절차 102
2. 연구 결과 103
가. 탐색적 요인분석 103
3. 연구 논의 109
Ⅵ. 연구 2-2.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111
1. 연구 방법 111
가. 연구 대상 111
나. 연구 도구 114
다. 연구 절차 117
2. 연구 결과 117
가. 확인적 요인분석 117
나. 타당도 분석 123
3. 연구 논의 126
Ⅶ. 연구 3. 외벌이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군집 분석 130
1. 연구 방법 130
가. 연구 대상 130
나. 연구 도구 130
다. 연구 절차 132
2. 연구 결과 132
가. 군집 분석 132
3. 연구 논의 136
Ⅷ. 종합 논의 및 결론 139
참고문헌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