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비건 화장품 만족도에 따른 지속소비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consumption according to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vegan cosmetics satisfac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 가치와 비건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의 지속 소비 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20대–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 배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 분석을 실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비율이 높았고, 20대가 가장 많았다. 소득은 200 ~ 300만 원 미만, 학력은 대학교 졸업, 직업은 회사원이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가 구매해 본 비건 화장품 종류는 스킨케어 류, 클렌징 류가 가장 많았으며, 구매 시 고려하는 사항은 제품의 효능 및 효과, 성분 및 원료가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약 50%가 비건 화장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드럭스토어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하고, SNS, 인터넷, 유튜브를 통해 비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건 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화장품, 친환경 화장품이라는 인식이 높았다. 소비 가치는 기능적 소비 가치, 경제적 소비 가치, 윤리적 소비 가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의 소비 가치는 비건 화장품 지속 소비 가능성에 영향을 미쳤고, 비건 화장품 관심도와 만족도 또한 지속 소비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 배경 4
A. 비건 화장품 4
1. 비건의 개념 4
2. 비건 화장품의 정의 7
3. 주요 국가 비건 화장품 인증 기준 9
4. 비건 화장품 시장 현황 및 전망 11
B. 소비가치 15
1. 소비가치의 개념 15
C. 지속소비가능성 18
1. 지속소비가능성의 개념 18
2. 구매의도의 개념 19
3. 지속이용의도 19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문제 21
B.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1
C. 설문지 구성 21
D. 분석 방법 22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24
A.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4
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4
B.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6
1. 소비가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6
2. 지속소비가능성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8
C. 소비자의 소비가치 30
1. 기능적 소비가치 30
2. 경제적 소비가치 32
3. 윤리적 소비가치 34
4. 소비가치 요인 별 기술통계 37
5.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가치 38
D. 비건 화장품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동 41
1. 비건 화장품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동 41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비건 화장품 인식 및 구매행동 45
E. 지속소비가능성 49
1. 지속소비가능성 49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속소비가능성 52
3. 비건 화장품 관심도에 따른 지속소비가능성 54
4. 비건 화장품 만족도에 따른 지속소비가능성 55
F. 가설 검증 56
1. 상관 분석 56
2. 비건 화장품 관심도가 지속소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56
3. 비건 화장품 만족도가 지속소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58
4. 소비가치가 비건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59
5. 소비가치가 지속소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61
Ⅴ. 결론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