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에 대한 수준을 살펴보고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3년 10월 13일부터 2023년 10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강지연 등(2018)이 개발한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 측정 도구(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로 측정하였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은 Evans와 Strumpf (1989)가 개발한 신체보호대 적용 인식 측정 도구(Perception of Restraints Use Questionnaire)를 김진선과 오희영(2006)이 번안하고 김무영(201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는 Janelli 등(1991)이 개발한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 도구(Attitudes regarding Use of Restraints)를 김진선과 오희영(2006)이 번안하고 김무영(2017)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Janelli 등(1991)이 개발하고 Suen 등(2006)이 수정 보완한 신체보호대 적용 관련 실무 도구(Nursing practice related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를 최금봉과 김진선(2009)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간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60±0.40점이었다.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91±0.56점이었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3.28±0.31점이었다.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총점 3점 만점에 평균 2.58±0.2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3교대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은 2.65±0.17점으로 2교대 간호사의 2.54±0.26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59, p=.011). 3.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인간중심간호(r=.41, p<.001),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r=.28,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r=.11 p=.177)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해 기피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간중심간호(β=.32, p<.001),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β=.28 p<.001), 근무 형태(β=-.21, p=.004)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인간중심간호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가 기피적일수록, 2교대 근무자보다 3교대 근무자가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변수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25.4%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7.70, p<.001).

more

초록/요약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6 ICU nurse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do. The survey, conducted from from October 13th to October 20th, 2023, utiliz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gather data. The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was measured using the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scale Nursing’ scale developed by Kang Ji-yeon et al. (2018). Their perception of applying physical restraints was assessed using the ‘Perception of Restraints Use Questionnaire’ tool adapted by Kim Jin-sun and Oh Hee-young (2006) from the tool developed by Evans and Strumpf (1989), revised by Kim Moo-yong (2017). Attitudes toward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were measured using the ‘Attitudes regarding Use of Restraints’ tool adapted by Kim Jin-sun and Oh Hee-young (2006) from the instrument developed by Janelli et al. (1991), further revised by Kim Moo-young (2017).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was measured using the ‘Nursing practice related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tool developed by Janelli et al. (1991), translated into Korean by Choi Geum-bong and Kim Jin-sun (2009) after modifications by Suen et al. (2006).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erson-centered care scored an average of 3.60±0.40 of 5. Perception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veraged 3.91±0.56 out of 5, whi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veraged 3.28±0.31 out of 5.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scored an average of 2.58±0.24 out of a total of 3 points. 2.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physical restraint application among nurses in a three-shift system (2.65±0.1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urses in a two-shift system (2.65±0.26)(t=-2.59, p=.011) 3.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centered care (r= .41,p<.001)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r=.28,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perception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r=.11,p=.177). This suggests that higher levels of person-centered care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in nursing practic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were person-centered care (β=.32,p<.001),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β=.28,p<.001), and work pattern (β=.21,p=.004), in that order. This indicates that higher levels of person-centered care, more unfavorab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nd being in a three-shift system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These variables collectively accounted for 25.4% of the variance i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17.70, p<.001)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8
B.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영향요인 10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6
E. 윤리적 고려 17
F. 자료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 태도,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21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의 차이 23
D.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 태도,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 25
E. 대상자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의 영향요인 27
Ⅴ. 논의 29
Ⅵ. 결론 및 제언 34
참고문헌 35
부 록 43
ABSTRACT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