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 저학년 부모대상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Impact of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Sex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초록/요약

본 연구는 Schuster, Kruger와 Hebenstreit(1985)의 보호이론을 적용하여 초등 저학년 부모대상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부모 성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를 확인 후 수정?보완하였다.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실험군 40명(부부 20쌍), 대조군 38명(부부 19쌍), 총 78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9월 5일~9월 25일까지이며, 실험군에게는 주 1회 120분의 대면 교육 3회와 비대면 교육 2회의 총 5회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성지식, 성역할 의식,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 부모효능감 및 자녀성교육 수행도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직전과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 자가보고형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성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F=37.51, p<.001). 가설 2.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역할 의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성역할 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F=10.09, p=.002). 가설 3.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F=82.67, p<.001). 가설 4.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부모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부모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F=65.91, p<.001). 가설 5.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녀성교육 수행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자녀성교육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F=81.55, p<.001). 가설 6.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지식, 성역할 의식,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 부모효능감, 자녀성교육 수행도의 부부간 점수 차이의 변화량이 더 감소할 것이다.’는 성지식(z=-2.05, p=.044), 성역할 의식(t=-2.79, p=.008), 자녀성교육 수행도(t=-2.74, p=.009)의 부부간 점수 차이의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t=-0.75, p=.463), 부모효능감(z=-0.58, p=.569)의 부부간 점수 차이의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보호이론을 적용한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이 성지식 향상(ŋ2=.333), 성역할 의식 향상(ŋ2=.119),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 향상(ŋ2=.524), 부모효능감 향상(ŋ2=.468), 그리고 자녀성교육 수행도 향상(ŋ2=.521)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 저학년 부모대상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이 학교 보건교사와 지역사회 임상 실무자에게 간호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부모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 성지식, 성역할 의식, 가족간 성 의사소통 인식, 부모효능감, 자녀성교육 수행도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developed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d on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 for the parents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based on ‘A theory of protection: parents as sex educator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n sex knowledge, gender role consciousness, family sex communication awareness, parental efficacy,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 and the changes in score difference between coupl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are 20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H city and 19 couples in the control group from S city. The interven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5 to September 25, 2023. Total of 5-sessions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sessions were face-to-face learning once a week and 2-sessions were none-face-to-face learning. A self-reported survey was tak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ANCOVA,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ex knowledge(F=37.51, p<.001), gender role consciousness(F=10.09, p=.002), family sex communication awareness(F=82.67, p<.001), parental efficacy(F=65.91, p<.001),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F=81.55,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test results of the changes(posttest - pretest) in score difference between coupl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s follows: sexual knowledge(z=-2.05, p=.044), gender role consciousness(t=-2.79, p=.008),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t=-2.74, p=.009), family sex communication awareness(t=-0.75, p=.463), parental efficacy(z=-0.58, p=.569).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sex knowledge(ŋ2=.333), gender role consciousness(ŋ2=.119), family sex communication awareness(ŋ2=.524), parental efficacy(ŋ2=.468),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ŋ2=.521). It is hop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nursing grounds and serve as basic data of operating sex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for school health teachers and community clinical practitioners. Key words : sex knowledge, gender role consciousness, family sex communication awareness, parental efficacy, implementation of children's sex education

more

목차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 가설 6
D 용어 정의 7
Ⅱ 문헌고찰 10
A 자녀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10
B 자녀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16
C 보호이론과 자녀성교육 20
Ⅲ 이론적 기틀 25
Ⅳ 연구 방법 29
A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 개발 29
B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검증 41
Ⅴ 연구 결과 54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54
B 연구의 가설 검증 60
Ⅵ 논의 80
A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 개발 80
B 자녀성교육 수행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검증 84
C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90
Ⅶ 결론 및 제언 92
A 결론 92
B 제언 94
참고문헌 95
부록 107
ABSTRACT 11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