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판 남성의 전문적 도움 추구 방해물 척도(K-BHSS)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Barriers to Help Seeking Scal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장년을 대상으로 전문적 도움 추구 방해물을 측정하기 위해 Mansfield와 Addis, Courtenay(2005)가 개발한 남성의 도움 추구 방해물 척도(Barriers to Help Seeking Scale, BHSS)를 번안 및 수정하여 K-BHSS의 요인구조를 파악한 후,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와 이중언어자 1인이 번역 및 역번역한 후, 지도교수와 토의를 거쳐 원척도 31개의 문항들을 번안하여 K-BHSS 척도를 제작한 후,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인터넷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한국의 중장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5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데이터 값에서 크게 벗어난 범위를 응답한 이상치가 3문항 이상에서 보고된 12명의 데이 터를 제거 후, 488명의 데이터를 각각 집단 1(N=200) 집단 2(N=288)로 무선할당하였다. 집단 1에서 문항분석을 통해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문항분석 결과, 총 6개의 문항을 제거하였고, 심리적·정신적인 개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신체적 개념을 측정하는 3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의 5요인과 동일하게 5요인으로 나타났으나, K-BHSS에서 원척도의 하위요인 간 문항들이 결합된 형태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6문항이 제거되었다. 둘째, 최종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2(N=288)의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된 5요인 모형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16문항, 5요인으로 구성된 K-BHSS에 대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K-BHSS의 수렴타당도 확인을 위해 남성 성역할갈등 척도(K-GRCS)와 자기 낙인 척도(SSOSH)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수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K-BHSS 총점과 남성 성역할갈등, 자기 낙인의 총점이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준거 관련 타당도 중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K-BHSS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단축형 척도(ATSPPH-S)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동시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K-BHSS 총점과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단축형의 총점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남성의 도움 추구 방해물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여 국내의 중장년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를 통해 한국 남성들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중장년 남성들이 전문적 도움 추구 시 방해물이 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도움 추구를 받을 수 있게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여 심리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7
1)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개념 및 측정 7
2) 기존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척도의 한계점 8
2.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와 관련된 변인 10
1) 성역할갈등 10
2) 자기 낙인 13
3. BHSS 척도 15
1) 개발 배경 및 목적 15
2) 하위 요인 및 문항 18
Ⅲ. 연구 방법 19
1) 연구 대상 19
2) 문항 번역 절차 21
3) 측정 도구 22
4) 자료 분석 절차 26
Ⅳ. 연구 결과 27
1) 문항 분석 27
2) 탐색적 요인분석 31
3) 확인적 요인분석 38
4) 타당도 분석 42
Ⅴ. 결론 및 논의 44
1) 결과 요약 및 해석 · 44
2) 의의 및 제한점 48
참고문헌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