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구조모형

Structural Model of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당뇨병 독거노인의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포함된 가설모형을 구축하여 변수들 간의 경로 및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은 Fisher & Fisher 등(1992)이 제시한 정보-동기-행위기술 모형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구축하였다. 모형에서 잠재변수는 총 6개로, 정보요인으로 건강정보이해력, 동기요인으로 개인적 동기는 자율적 동기, 사회적 동기는 사회적 지지로 구성하였다. 당뇨병 행위기술은 당뇨병 자기효능감이며 외생변수로 외로움을 추가 구성하였다. 최종 종속변수는 당뇨병 자가관리행위이다. 정보와 동기, 외로움은 직접 또는 행위기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행위기술은 직접적으로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설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위치한 두 개의 시에 거주하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독거노인 334명으로, 2022년 07월 02일부터 11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와 당화혈색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SD AlcCareTM (SD BIOSENSOR, Kanagawq, Japan)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과 AMO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가설 모형은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모형의 권장수준(Normed χ2=2.97, Goodness of Fit Index=.92, Adjustment Goodness of Fit Index=.91, Standardized Root Mean-square Residual=.05,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7, Comparative Fit Index=.92, Turker-Lewis Index=.91, Normed Fit Index=.90)을 만족하여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를 예측하는데 적절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가설모형에서 설정한 13개의 가설 중 11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고, 2개는 기각되었다.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정보이해력(β=.420, p<.001), 자율적 동기(β=.384, p<.001), 사회적 지지(β=.175, p<.001), 외로움(β=-.089, p=.03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당뇨병 자기효능감 을 설명하는 정도는 68.4%였다.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당뇨병 자기효능감(β=.650, p<.001), 건강정보이해력(β=.165, p=.006), 외로움(β=-.119, p=.008), 사회적 지지(β=.099, p=.0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당뇨병 자가관리행위를 설명하는 정도는 74.0%였다. 가설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간의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건강정보이해력(β=.274, p=.002), 자율적 동기(β=.250, p=.012), 사회적 지지(β=.114, p=.002)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를 위한 구조모형은 당뇨병 건강정보이해력, 자율적 동기, 사회적 지지, 외로움, 당뇨병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자가관리행위를 향상시키데 영향요인 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을 제안한다. 또한 독거노인이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가관리행위 실천 및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지원정책과 실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of self-management behavior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abetes mellit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planatory model that effectively explains the factors affecting self-management behavior among this specific pop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34 elderly individuals residing alone and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in Gangwon-do region. Data was collected vi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2 to November 22,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IBM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The hypothetical model included the exogenous variable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literacy, autonomy motiv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self efficacy, ,and self-management behavior, and the endogenous variable such as HbA1c. Resul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11 hypotheses, and rejected 2 hypotheses. Effective variables of diabetes self-efficacy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health literacy(β=.420, p<.001), autonomous motivation (β=.384, p<.001), social support (β=.175, p<.001), and loneliness (β=-.089, p=.032),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68.4%.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diabetes self-efficacy (β=.650, p<.001), health literacy (β=.165, p=.006), loneliness (β=-.119, p=.008), and social support (β=.099, p=.03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74.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included in the hypothetica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health literacy (β=.274, p=.002), autonomous motivation (β=.250, p=.012), and social support (β=.114, p=.002) on self-management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dictive model for improving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diabetes mellitus. The improvement was achieved through understanding diabetes health literacy, autonomous motiv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diabetes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propos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community support policies and ac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prevent diabetes complications and to promote self-management behavior.

more

목차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II. 문헌고찰 10
A.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10
B.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관련요인 13
C. IMB 모델과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21
III. 개념적 기틀 25
A.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25
B. 가설모형 27
C. 연구가설 28
IV. 연구방법 30
A. 연구설계 30
B. 연구대상 30
C. 연구의 윤리적 측면 32
D. 연구도구 33
E. 측정변수의 신뢰도 38
F.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40
G. 자료분석방법 41
V. 연구결과 44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4
B. 연구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46
C. 측정변수의 서술적 통계 48
D.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 50
E. 가설모형 검정 52
Ⅵ. 논의 65
A. IMB 모델의 적용 65
B. 독거노인의 당뇨병 자가관리행위 영향요인 67
C. 연구의 제한점 78
D. 연구의 의의 79
Ⅶ. 결론 및 제언 81
A. 결론 81
B. 제언 82
참고문헌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