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나노기술 분야 연구개발 협력과 기술혁신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ERGM과 ALAAM의 적용

초록/요약

본 연구는 나노기술 분야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에서 국가혁신체제 내 협력 및 기술혁신성과를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인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s(ERGM)과 Autologistic Actor Attribute Model(ALAAM)로 각각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국가혁신체제 연구에서 협력으로 인해 창출되는 기술혁신성과를 모형화하기 어려운 일반적인 회귀분석을 많이 활용하였다. 일반적인 회귀분석은 네트워크 내 행위자 속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구조 및 특성 변수를 독립변수로 간주하므로 네트워크의 본질인 직접적 연결관계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협력(연결관계)에 의한 기술혁신성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ALAAM과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으로 국가혁신체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가혁신체제의 핵심인 협력과 기술혁신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음 두 가지 목적을 본 연구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나노기술 분야 국가연구개발의 기관 간 협력은 무엇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혁신체제에서 협력 네트워크 형성이 다양한 근접성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이렇게 형성된 협력 네트워크에 의해 기술혁신성과 창출과 확산을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협력의 양(중심성)이 성과 창출에 긍정적이라는 연구가 많은데 성과 확산과 중심성 중 어느 변수가 중요한지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실증 연구를 협력과 기술혁신성과 각각의 분석 차원에 맞는 통계적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인 ERGM과 ALAAM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나노기술 연구개발 기관 간 협력과 다양한 근접성의 영향을 연결관계(협력)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ERGM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나노기술 협력 네트워크 내 행위자 수준에서 기술혁신성과가 창출되고, 연결관계를 통해 기술혁신성과의 확산이 일어나는 다차원 상황을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는 ALAAM로 분석하였다. ERGM과 ALAAM으로 분석한 실증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노인프라와의 공존은 모든 모델에서 유의하고 긍정적이어서 나노기술 지식의 확산과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우리나라 나노기술 분야 국가연구개발 협력네트워크에서 공공연구소 및 대학이 기술혁신성과를 주로 창출하고 기업으로 확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의 양보다 기술혁신성과가 높은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 기술혁신성과 창출에 중요하다. 중심성은 기술혁신성과 확산을 포함한 모델에서 유의하지 않아서 높은 기술혁신성과를 갖는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 성과 창출에 유리하다. 본 연구는 다음의 몇몇 관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첫째, 나노기술 분야 국가연구개발 네트워크에서 기술혁신성과 확산 가설을 세우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처음으로 보였다. 특히 확산을 포함한 모델의 경우, 많은 선행연구와 달리, 중심성의 기술혁신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음을 최초로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기술혁신성과 확산의 다차원 상황과 자기로지스틱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일반적 회귀분석의 부적절한 통계적 추론 가능성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혁신 주체에 따른 기술혁신성과 확산 방향을 특정하여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기술혁신성과 확산 방향은 ALAAM 활용과 혁신 주체를 기업과 대비한 연구소 및 대학으로 이진화하는 방법을 통해 특정할 수 있었고 다른 연구분야에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ALAAM의 분석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연결관계 유형 결정 절차와 기준을 제안하고 적용하여 분석에 성공하였다. 이 절차는 네트워크 연구에서 ALAAM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3
제3절 연구 목적 및 방법 5
제4절 연구 설계 6
제5절 논문의 구성 8
제2장 이론적 배경 9
제1절 국가혁신체제와 나노기술 9
1. 국가혁신체제 9
2. 나노기술 연구개발 현황 10
3. 나노기술과 혁신 12
4. 나노기술과 근접성 14
5. 기술혁신성과 16
제2절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19
1.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필요성 19
2. 네트워크 구조 변수와 특성 변수 20
3. 네트워크 분석 24
제3장 Study I: 연구개발 협력 26
제1절 선행연구 26
1. 국가혁신체제와 협력 26
2. 나노기술과 협력 28
3. 근접성과 혁신 29
4. 네트워크와 근접성 31
제2절 연구 방법 33
1. 연구가설 및 모델 33
2. ERGM 및 데이터 37
제3절 연구 결과 및 논의 42
1. 기본 통계 42
2. 지리적 근접성 45
3. 비지리적 근접성 46
4. 결론 및 시사점 47
제4장 Study II: 기술혁신성과와 확산 49
제1절 선행연구 49
1. 나노기술 기술혁신성과 49
2. 근접성과 혁신네트워크 51
3. 기술혁신성과 확산 주체 53
4. 네트워크 위치 54
5. ALAAM과 확산 55
제2절 연구 방법 59
1. 연구가설 및 모형 59
2. 데이터 및 방법론 63
제3절 연구 결과 및 논의 68
1. 계수 추정 결과 및 모델 적합도 68
2. 중심성과 확산 69
3. 기술혁신성과 창출과 확산 방향 71
4. 강건성 검증 72
5. 결론 및 시사점 73
제5장 결론 75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75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77
참고문헌 79
Abstract · 9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