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DEA와 토빗회귀 모형을 이용한 전문건설기업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 외부감사 대상 전문건설기업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Efficiency of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DEA and Tobit Regression Models

초록/요약

건설업은 다수의 생산자가 수직적 하도급구조로 참여하는 산업적 특성으로 인해 경영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효율성 강화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거시경제의 악화, 공사비용 증가, 부동산 PF 위험 증대 등에 따라 건설경기가 매우 침체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건설기업은 효율적 경영을 통한 안정성 확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전문건설기업은 99% 이상이 중소기업으로 지속적인 효율성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성장 경로를 이어가야 한다. 더욱이 전문건설기업은 업종별로 투입되는 생산요소의 차이가 크고 시장집중도도 상이하여 다양한 기업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간 종합건설기업을 중심으로 한 효율성 강화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문건설기업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건설기업의 업종별 효율성과 추이를 살펴보고 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구축을 위하여 전문건설기업 중 재무정보가 공개되는 외부감사법인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먼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전문건설기업 업종별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효율성 분석은 다양한 투입·산출요소를 이용하여 기업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DEA 모형을 활용하였다. 투입요소는 총자본, 인건비, 판매 및 관리비이고, 산출요소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건설기업의 2022년 효율성 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정요인 분석은 0에서 1의 값을 갖는 DEA 분석값과 같이 제한된 범위의 종속변수에 사용하는 토빗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기업의 재무적 요인과 함께 기업 성장과 관련된 비재무적 요인을 적용하였다. 전문건설기업의 효율성은 철근·콘크리트공사업과 같은 노무 중심 기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설경기에 밀접하게 영향을 받으며, 특히 자재비와 인건비의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대형기업의 효율성이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기업의 규모 축소를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매출액의 증가가 직접적인 효율성 증가로 작용하지 않았고, 불황기에도 기업의 투입요소 관리를 통해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었다. 전문건설기업의 연도별 효율성 변화는 업종별 공정의 순서에 영향을 받아 선행 업종과 후행 업종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전반적으로 전문건설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은 업력, 특허 및 신기술 보유여부, 종업원 1인당 인건비와 매출액, 자가자본비율, 부채비율이었다. 업종별 효율성 결정요인은 일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전문건설업 업종별 효율성 향상전략을 제시하였다. 전문건설기업은 전반적으로 인건비를 절감하고 부채조달을 통한 사업비 확보로 매출액을 증가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반조성·포장공사업은 인건비 절감과 보유업종 감축 등 기업규모를 축소하고 매출액을 확보하는 내실있는 경영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공사업은 인건비 절감 및 부채조달을 통한 사업 확보와 동시에 영업이익율을 높이는 수익중심 경영전략이 세워져야 한다. 실내건축공사업과 금속창호·지붕건축물조립공사업은 부채조달을 통한 사업비 확보와 인력 대비 생산성 향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과 2021년 원자재 가격 급등의 시기에 전문건설기업의 효율성 변화를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더한다. 하지만 외부감사 대상인 전문건설기업만을 분석하여 소규모 전문건설기업이 제외되었고, 업종별 대표성을 갖기에는 분석대상 기업수가 부족하였다. 또한 업종별 공사방식과 투입요소가 상이하나 동일 범주 내에서 효율성을 분석한 점에서 한계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논문의 한계는 추후 새로운 연구를 통해 진전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1.2.1 연구의 방법 3
1.2.2 연구의 범위 4
1.2.3 연구수행 절차 5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2.1 효율성의 개념 7
2.2 효율성의 측정방법 11
2.2.1 DEA모형 개요 12
2.2.2 CCR모형 13
2.2.3 BCC모형 17
2.3 선행연구 고찰 21
2.3.1 건설기업의 효율성 연구 21
2.3.2 전문건설기업의 효율성 연구 27
2.3.3 건설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 연구 28
2.3.4 DEA 모형을 활용한 건설분야 해외 연구 33
제3장 전문건설업 경기 동향 35
3.1 전문건설업 개요 35
3.1.1 건설업 분류체계 35
3.1.2 전문건설업 업종별 업무내용 39
3.1.3 전문건설업 세부 프로세스 42
3.2 전문건설업 경기 동향 43
3.2.1 건설업 수주 및 투자 43
3.2.2 전문건설업 경기 동향 45
3.2.3 건설자재 동향 52
3.2.4 기업경영 주요 지표 55
3.3 소결 58
제4장 전문건설업 효율성 분석 61
4.1 분석자료 61
4.1.1 전문건설업 기업분류 61
4.1.2 활용 변수 65
4.2 전문건설업 효율성 분석 67
4.2.1 전문건설업 효율성 69
4.2.2 전문건설업 유형별 효율성 71
4.2.3 전문건설업 규모별 효율성 74
4.2.4 전문건설업 업종보유수별 효율성 76
4.2.5 전문건설업 업종별 효율성 80
4.2.6 전문건설업 중심 생산요소별 효율성 83
4.2.7 전문건설업 특성별 효율성 ANOVA 분석 85
4.3 산출요소별 효율성 분석 88
4.3.1 통합 효율성 분석 88
4.3.2 매출액 효율성 분석 90
4.3.3 영업이익 효율성 분석 91
4.3.4 산출요소별‧중심 생산요소별 효율성 분석 92
4.3.5 전문건설업 특성에 따른 산출요소별 평균 효율성 분석 93
4.4 소결 96
제5장 전문건설업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100
5.1 분석 모델 및 대상 100
5.2 변수의 선정 101
5.3 전문건설업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110
5.3.1 효율성 분석 111
5.3.2 상관관계 분석 112
5.3.3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114
5.4 소결 120
제6장 결 론 123
6.1 연구의 요약 123
6.2 연구의 시사점 125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27
참고 문헌 128
부록 132
부록 1. 전문건설기업 효율성 그래프 132
부록 2. 전문건설업 특성별 효율성 ANOVA 분석 138
부록 3. 토빗회귀분석 가정 검증 153
Abstract 1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