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Health literac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Internet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evel of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aging awareness, social support, and e-health literac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internet, as well as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health literac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7 older adults aged 65 who using the Internet and wanted voluntary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ember 02, 2023, to November 07, 2023.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in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Report. Aging awareness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Aging Awareness Scale, developed by Brothers et al. (2019) and modified by Sang-hee Nam and Ji-yeon Kim (2021).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scale of the social support instrument developed by Jee-won Park (1985) for adults and adapted by Kyeong-won Lee (2021)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e-health literacy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eHealth Literacy Scale, developed by Norman and Skinner (2006) and adapted by Seon-ju Chang et al.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was 2.83 ± 0.57 out of 4 points. The average score of aging awareness was 3.47 ± 0.50 out of 5 points. In the sub-area, the average score of aging awareness gains was 4.00 ± 0.50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aging awareness losses was 3.17 ± 0.7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social support was 3.58 ± 0.63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domains, emotional support was the highest at 3.71 ± 0.66 points, material support was the lowest at 3.29 ± 0.93 points. The average score of e-health literacy was 3.76 ± 0.59 out of 5 points. 2. e-health literacy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F=4.74, p=.010) and their Internet usage time per day (F=5.44, p=.005). 3. e-health liter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r=.68, p<.001) aging awareness gains (r=.51, p<.001), and social support (r=.40, p<.001). 4.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e-health literacy. For older adults using the internet,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β=.58, p<.001) and aging awareness gains (β=.20, p=.01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health literacy,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8.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digital utilization efficacy and the higher the aging awareness gains, the higher the e-health literacy of older adults using the Internet. For healthy and successful aging in a digital societ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health literacy in older adult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디지털활용효능감, 노화인식, 사회적 지지, e-헬스리터러시의 정도를 확인하고 e-헬스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노인 127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11월 2일부터 2023년 11월 7일까지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2018 디지털 격차 실태조사 보고서의 설문지 중 디지털활용효능감 도구, Brothers 등(2019)이 개발하고 남상희, 김지연(2021)이 수정한 한국판 노화인식 척도(Korean Version of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 Scale),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이경원(2021)이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수정한 사회적 지지 도구, Norman과 Skinner(2006)가 개발한 eHEALS를 장선주 등(2018)이 개작한 Korean version of the eHealth Literacy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9.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디지털활용효능감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83±0.57점이었고, 노화인식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47±0.50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노화이득인식은 평균평점 4.00±0.50점, 노화손실인식은 평균평점 3.17±0.70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58±0.63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정서적 지지가 3.71±0.6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물질적 지지가 3.29±0.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평균평점은 3.76±0.59점으로 나타났다. 2.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교육수준(F=4.74, p=.010), 하루 인터넷 이용시간(F=5.44, p=.005)에 따라 e-헬스리터러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는 디지털활용효능감(r=.68, p<.001), 노화이득인식(r=.51, p<.001), 사회적 지지(r=.40, p<.001)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e-헬스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e-헬스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디지털활용효능감(β=.58, p<.001), 노화이득인식(β=.20, p=.01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수에 의해 e-헬스리터러시의 48.5%가 설명되었다. 본 연구결과 디지털활용효능감이 높을수록, 노화이득인식이 높을수록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았다. 디지털사회에 건강하며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 9
B e-헬스리터러시 영향요인 12
Ⅲ 연구방법 19
A 연구설계 19
B 연구대상 19
C 연구도구 19
D 자료수집방법 22
E 윤리적 고려 22
F 자료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B 대상자의 디지털활용효능감, 노화인식, 사회적 지지, e-헬스리터러시 26
C 대상자의 e-헬스리터러시 문항별 수준 28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헬스리터러시 차이 30
E 대상자의 디지털활용효능감, 노화인식, 사회적 지지, e-헬스리터러시간의 관계 32
F 대상자의 e-헬스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Ⅴ 논의 36
A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디지털활용효능감, 노화인식, 사회적 지지, e-헬스리터러시 36
B 인터넷을 이용하는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 영향요인 41
C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43
Ⅵ 결론 및 제언 44
참고문헌 46
부 록 58
ABSTRACT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