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화씨충효록>의 여성인물 연구

A Study on the Female Character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lt;Filial piety of Hua's Family&gt;

초록/요약

본고는 사랑(애정과 애욕)과 이념의 관계 양상에 입각하여 &lt;화씨충효록&gt;에 등장한 여성인물의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그 변모와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lt;화씨충효록&gt;은 화씨가문 삼대에 걸친 적장승계의 확립과 와해, 그리고 재정립의 내용을 그려내기 위해 다양한 평면적-입체적 여성인물을 등장시켜 방대한 서사 내용을 전개한 작품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그러한 여성인물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기반으로 여성인물의 의의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미흡한 점이 있었다. Ⅱ장에서는 여성인물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의 기저 논리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논의된 대소설의 특징에 입각하여 &lt;화씨충효록&gt;의 벌열적 특징을 서술하고, 그에 따라 여성인물의 관계 양상을 추출하고, 이념과 사랑의 틀로 여성인물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작품에 등장한 여성인물은 이념을 중시하는 인물과 사랑을 중시하는 인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념을 중시하는 인물은 또한 시가에 헌신하는 인물과 친정에 전념하는 인물로 나눌 수 있고, 사랑을 중시하는 인물은 긍정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인물과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인물로 나눌 수 있다. Ⅲ장에서는 이념을 중시하는 인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 시가를 중시하는 인물은 1)시가의 가문 존립에 전념하는 임부인, 2)가부장의 명분을 최우선시하는 동시에, 종법주의 이념에 대한 보조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유장주, 3)가문에 대한 효보다 남편에 대한 열을 시종일관 지키는 백선빙, 4)이념에 지배되는 수동적인 열의식에서 능동적인 열의식으로 거듭나는 엄월화, 5)구박이 있음에도 시모에 대한 효를 지극히 실천하는 윤옥화, 6)시모에 대한 효와 종법주의 이념을 일체화하여 실현한 남채봉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친정을 중시하는 인물은 1)출가외인으로서 시가와의 갈등을 감수하더라도 친정의 가권을 행사하는 성부인, 2)남편과의 갈등을 감수하면서 친정의 가문 존립에 조력하는 화빙선, 3)시가에 대한 효와 남편의 대한 절의 충돌에서 친정에 대한 효를 실천하는 진채경 등으로 드러났다. Ⅳ장에서는 사랑을 중시하는 여성인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르면 여성의 적극적인 사랑이 긍정적으로 수용되어 해피엔딩을 맞이한 여성인물이 있는 한편, 여성의 적극적 사랑이 부정적으로 배척되어 파국의 결말을 맞이하는 여성도 있다. 전자는 1)자발적인 애정을 표출하다가 그것을 이념과 병행할 수 있도록 변모한 양아공주, 2)육신적 애정에 치우치다가 이념에 교화되어 정신적 애정형 여성으로 거듭난 서난소, 3)시기 질투적 여성에서 여사 지향형으로 변모한 심부인 등으로 나타났고, 후자는 1)시기 질투적 욕망으로 가문의 파괴를 초래한 취란, 2)애욕 음욕으로 가문을 해치는 교씨 등으로 드러났다. Ⅴ장에서는 종법주의 이념을 중심축으로 삼는 작품의 서술시각을 보완하는 전제에서 여성인물을 통해 드러난 서사세계에 초점을 맞춰, 그 인물들의 변모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여성인물이 해석한 이념, 사랑을 촉구하는 의식, 욕망에 대한 적극적인 추구 등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구체적으로 “가문 중심적 남편에 대한 비판”, “친정 가문을 향한 효행”, “가권에 대한 종부의 문제 제기”, “자발적·적극적 애정과 애욕의 강화” 등 범주를 통해 이루어졌다. 우선 “가문 중심적 남편에 대한 비판” 부분에서는 이념적인 측면에서 제기된 아내의 반항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lt;화씨충효록&gt;이 이념을 둘러싼 논쟁에서 여성이 지닌 능동적인 위상을 부각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기존 이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열었다는 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친정 가문을 향한 효행”의 부분에서는 &lt;화씨충효록&gt;이 기존의 대소설과 달리, 친정에 대한 효행을 더 중시한 여성인물을 폭넓게 제시하여 효담론의 범주 확충을 이룩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그다음으로 “가권에 대한 종부의 문제 제기”의 부분에서는 &lt;화씨충효록&gt;이 처음으로 종부의 자질 문제를 제기하여 종부의 인격과 종법주의 명분, 실질, 나아가 가권 이양 문제 사이의 얽힌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종부의 위상과 가문의 존립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순을 심화·확장하였다는 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발적·적극적 애정과 애욕의 강화” 부분에서는 &lt;화씨충효록&gt;이 이념에 순종하면 좋은 결말을, 거역하면 비참한 결말을 맞이하는 대소설의 전통을 계승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성의 사랑이 그 출발 단계에서 이념과 무관하거나 부합하지 않는 양상을 문제 삼지 않은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작품이 해당 여성인물을 통해 이념의 범주도 아니고 반이념의 범주도 아닌 비이념의 범주를 생성함으로써, 벌열의식에 입각한 이념에 쉽게 수렴되지 않은 사랑의 가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밖에 없는 역설을 낳았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여성인물, 벌열의식, 이념, 사랑, 열의식, 효의식, 애정과 애욕, 서술시각, 서사세계.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연구 4
3. 연구 방법 10
II. <화씨충효록>의 벌열적 특징과 여성인물 15
1. <화씨충효록>의 벌열적 특징 15
1.1. <화씨충효록>에 구현된 벌열세계의 양상 15
1.2. <화씨충효록>에 구현된 벌열의식 22
2. 벌열세계 속에 구현된 여성인물 33
2.1. 관계 양상 35
2.2. 이념과 사랑으로 본 여성인물 유형 41
III. 이념에 충실한 여성인물의 양상 46
1. 시가와 남편을 향한 의식 표출 46
1.1. 종법 확립에 대한 소명의식 표출: 임부인 유장주 46
1.2. 남편에 대한 열의식 표출: 백선빙 엄월화 54
1.3. 구박하는 시모에 대한 효의식 표출: 윤옥화 남채봉 64
2. 친정을 향한 의식 표출 72
2.1. 출가외인의 가권 행사: 성부인 73
2.2. 친정 가문에 대한 효행: 화빙선 80
2.3. 친정 가문의 수호를 위한 헌신: 진채경 85
IV. 적극적 사랑을 하는 여성인물의 양상 89
1. 적극적 사랑의 수용 89
1.1. 이념 수렴형으로 변모: 양아공주 89
1.2. 정신적 애정형으로 변모: 서난소 94
1.3. 여사 지향형으로 변모: 심부인 96
2. 배척당하는 여성의 적극적 사랑 101
2.1. 시기 질투형 여성의 종말: 취란 101
2.2. 애욕 음욕형 여성의 종말: 교씨 106
V. 여성인물의 변모와 의미 110
1. 가문 중심적 남편에 대한 비판 110
2. 친정 가문을 향한 효행 116
3. 가권에 대한 종부의 문제 제기 120
4. 자발적 적극적 애정과 애욕의 강화 127
VI. 결론 13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