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 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 지역사회 노인의 노쇠 유병률 변화와 관련 요인

Changes in Prevalence of Frail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Before and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초록/요약

Background: The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across the world. South Korea is quickly shifting into aging society so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older adults. In December 2019, COVID-19 first broke out in Wuhan, China and has been spreading rapidly in the worl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pandemic, the highest alert level in March 2020. Several studies revealed that older adults are at highest risk of COVID-19. Therefore, The measures and researches were required for them, and a number of studies show that frailty is a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the prognosis in the pandemic. In May 2023, WHO ended the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and declared COVID-19 over. COVID-19 is over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epare epidemic and pandemic potential.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gather preliminary data for the national health service and develop early interventions like giving better care for older adults, one of the highest risk groups, to live a healthy life in community. Purpose: This study found the change of prevalence of frailty before and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Moreover,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evance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 factors and prevalence of frailty before and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Method: This study used and analyzed the raw data from the cross-sec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in 2017, 2020.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ere 10,040 in 2017, 9,694 in 2020, except those who provided proxy responses and missing or non-responders. They are older adults, 65 years and older, who responded to the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in 2017, 2020. Total number of them is 19,734. Dependent variable is frailty that was determined by the FRAIL Scale. Independent variables vari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sex, age, household type, education level, property, job classification), health behavior factors(BMI, smoking, drinking, physical exercise, social activity count), physical health condition factors(subjective health status, fall history, ADL dependency, IADL dependency, hearing impairment, visual impairment, number of medicines),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 factors(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Results: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ntage of robust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was declined by 8.8%p, each percentage of prevalence of pre-frail and frail was increased by 7.3%p and 1.5%p. Each percentage of prevalence of pre-frail and frail was increased by an annual average of 2.4%p and 0.5%p. Regard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rise of prevalence of frailty in 2020 on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associated factors of prevalence of frail included the following: unemployed (compared to white-collar worker), three or above of social activity count and one or two of social activity count (compared no social activity). And the following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pre-frailty: single person (compared to household type except for single person, married couple without adult child, married couple with adult child), low property (compared to middle-high property), unemployed (compared to white-collar worker), less than 150 minutes of physical exercise (compared to do not physical exercise), hearing impairment. Conclusion: South Korea government needs to manage the health care of vulnerable older adults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frailty to prevent worsening health conditions of older adults. It is also necessary to focus on the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in the prevalence of frailty, where lifestyle changes can have a positive effects.

more

초록/요약

연구 배경: 국내외에서 고령화가 진행 중이고, 특히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노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발생하였고, 이는 빠르게 전파되었다. 2020년 3월에는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전염병 최고 위험단계인 ‘Pandemic(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선언하였다. 이후 노인이 코로나19에 취약한 계층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노인에 대한 대책과 연구가 필요했고,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해 노쇠는 전염병 상황에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이 알려졌다. 2023년 5월 WHO에서 PHEIC(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선언을 종료하며 사실상 Pandemic을 종료하였다. 코로나19 사태는 종료되었지만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취약 계층인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등 조기 개입하여 건강하게 지역사회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국가보건정책의 기초 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연구 목적: 코로나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 노쇠 유병률의 변화를 알아본다. 또한 코로나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에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학적 요인, 신체건강상태 요인, 정신건강상태 요인과 노쇠 유병률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분석 방법: 본 연구는 2차 자료인 2017년, 2020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대상자 10,299명, 2020년 대상자 10,097명 중 대리응답을 하였거나 변수로 사용된 문항에 결측이 있는 2017년, 2020년 대상자 각각 259명, 403명을 제외하여 10,040명, 9,694명으로 총 19,734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종속 변수는 노쇠이며, 노쇠 지표 중 FRAIL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독립 변수는 변수들의 특성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나이, 거주형태, 교육수준, 재산, 직업상태), 건강행태학적 요인(BMI, 흡연, 음주, 신체적 운동, 사회적 활동 개수), 신체건강상태 요인(주관적 건강 상태, 낙상 경험, ADL, IADL 청각 이상, 시각 이상, 복용 중인 약 개수), 정신건강상태 요인(인지장애, 우울증상)으로 나눴다. 결과: 코로나 19 유행 전과 비교하여 코로나 19 유행 초기에 비노쇠는 8.8%p 감소되었고 전노쇠 · 노쇠 유병률은 각각 7.3%p, 1.5%p 증가되었다. 평균적으로 일 년에 전노쇠 · 노쇠 유병률이 각각 2.4%p, 0.5%p 상승되었다. 또한 2020년에만 노쇠 유병률의 상승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살펴보면, 노쇠 유병률은 사무직 종사자 대비 무직일 때, 사회적 활동 개수가 많을 때 오즈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노쇠 유병률은 기타거주형태(노인독신가구, 노인부부가구, 성인자녀동거 노인가구를 제외한 모든 거주 형태) 대비 노인독신가구일 때, 재산 수준이 중상 대비 가장 낮을 때, 사무직 종사자 대비 무직일 때, 150분/주 미만으로 신체적 운동 시행 대비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을 때, 청력 이상이 있을 때 오즈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감염병 유행 시기에 지역사회 노인의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 노쇠와 관련된 요인을 식별하여 취약계층에게 돌봄과 중재를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노쇠 유병률의 상승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 중 생활 방식의 변화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1. 코로나 19 4
2. 노쇠 6
Ⅲ. 연구 방법 8
1. 연구대상 8
2.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0
3. 변수의 정의 12
4. 자료분석방법 19
Ⅳ. 연구 결과 20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차이 20
2. 코로나 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의 노쇠 유병률의 변화와 차이 26
3. 코로나 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의 특성 별 노쇠 수준의 차이 28
4. 코로나 19 유행 전 대비 유행 초기의 노쇠 유병률과의 관련성 36
5. 코로나19 유행 전 대비 유행 초기의 일반적 특성과 노쇠 유병률의 변화와의 관련성 38
Ⅴ. 고찰 56
1. 노쇠 유병률의 변화 56
2. 코로나 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 노쇠 유병률의 상승과 관련 요인 59
Ⅵ. 결론 68
참고문헌 69
부록 84
ABSTRACT 10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