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량적 지표를 활용한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의 구축

A Study on Performance Verification of Naval Ship Projects Based on Assessment Indicators

초록/요약

성과평가는 사업의 성공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과 위협 증가, 주변국을 둘러싼 안보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국방재원의 획득과 배분에 있어 보다 엄중한 기준의 적용과 결과물로써 사업성과의 구체적 확인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지만, 무기체계 획득사업은 최초 요구부터 설계, 양산까지 오랜 시간동안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고 소요군, 연구기관, 품질보증기관, 업체 등 많은 이해 관계자가 참여하기 때문에 성과를 확인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함정사업은 대규모 플랫폼에 많은 장비와 설비가 탑재되고, 사업관리도 탐색 개발, 체계개발이 아닌 기본설계, 상세설계 및 함건조라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연구개발과 국·내외 구매, FMS 등이 혼재되어 있어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성과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지표를 활용한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 구축방안을 목표로 설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민간분야의 PAI(Project Assessment Indicator)모델에 기반하여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함정사업에 적용하고 있는 CMMI, PMBOK, SE표준(ISO/IEC/IEEE15288)의 주요활동을 바탕으로 성과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성과지표 간 상대평가를 통해 객관성을 보완하여 성과평가모델을 구축하였다. 둘째, 최근 사업이 종료된 사업을 대상으로 모델의 적합성을 검중하였다. 평가내용은 성과지표에 연관된 CMMI 세부과제를 ISO/IEC15288, PMBOK과 함정 사업업무편람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함정사업관리 활동에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업의 특성에 맞게 모델을 구성할 수 있어 사업진행 과정 또는 다른 무기체계 성과평가에 유연 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함정사업 성과평가체계의 근본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투입된 재원이 효율적 으로 쓰였는지 확인하고, 다른 사업에서 동일한 문제를 반복하지 않거나 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주제어 : 시스템공학, 함정사업, 성과평가, 성과지표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범위 5
제3절 연구의 공헌 및 논문의 구성 7
제1항 연구의 공헌 7
제2항 논문의 구성 9
제2장 선행연구 분석 및 문제정의 10
제1절 선행연구 분석 10
제1항 국내 함정사업 프로세스 10
제2항 해외 사례 12
제3항 국내 함정획득절차의 한계 16
제4항 무기체계 획득프로세스 성과평가 관련 연구 20
제5항 기존 성과평가 모델 연구 31
제2절 문제 정의 46
제1항 함정사업 성과관리제도의 문제점 46
제2항 함정사업 성과평가 실태 분석 47
제3항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의 활용분야 48
제3절 적용이론의 예비적 고찰 49
제1항 PAI모델 50
제2항 AHP모델 52
제3항 PAI-AHP모델과 PAI-NN모델 54
제4항 CMMI 55
제5항 시스템공학(SE)표준 57
제6항 PMBOK 58
제3장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의 개발 61
제1절 연구 목표 및 방법, 검증 61
제1항 연구목표 61
제2항 연구방법 62
제3항 연구결과 검증 62
제2절 모델의 구조화 64
제1항 시스템적 사고에 기반한 성과지표의 선정 64
제2항 계층구조의 구성 70
제3항 성과지표 평가내용의 구성 72
제4항 성과지표별 평가기준 81
제5항 AHP모델을 활용한 최종 모델의 구성 83
제4장 함정사업 성과평가모델의 유용성 확인 89
제1절 함정사업 적용을 통한 유용성 확인 89
제2절 기존 성과평가모델의 한계 극복과 확장성 102
제5장 결 론 104
제1절 연구요약 및 시사점 104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계획 105
참고문헌 107
부록 1 112
부록 2 126
Abstract 13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