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항혈소판제의 약물사용현황과 단일 및 이중요법의 임상적 평가

Drug utilization and clinical outcomes of dual or single antiplatelet 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초록/요약

연구배경: 항혈소판제 약물요법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후 심혈관 사건 2차 발생 예방을 위하여 항혈소판제 이중요법 (Dual Antiplatelet Therapy, DAPT)을 사용하고 있다. 환자의 동반질환 및 출혈 위험을 평가 후 1개월에서 3개월 이후 단일 요법 (Single Antiplatelet Therapy, SAPT)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사용데이터를 사용하여 PCI시술 후 항혈소판제의 DAPT와 SAPT 약물사용현황과 임상적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5년-2020년에 심혈관질환으로 PCI를 받은 환자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맞춤형 청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PCI 시술 후 3개월간 DAPT 사용 현황과 3개월 이후 DAPT 유지군과 SAPT 변경군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임상적 성과의 평가는 12개월, 24개월 시점의 Net Adverse Clinical Events(NACE)를 1차 평가 변수로 분석하였다. NACE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 허혈성뇌졸증, 재시술, 출혈의 임상 사건으로 구성되었다. 발생한 임상 사건의 빌생빈도와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DAPT와 SAPT 약물군의 NACE 위험비(adjusted Hazard ratios, aHR)를 분석하였다. 각 그룹별 생존 곡선을 Log-Rank Test를 통하여 검정 하였다. 환자의 성별, 연령, 당뇨 여부를 따라 하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2015년에서 2020년동안 심혈관질환으로 PCI를 받은 232,760명을 확인하였고, PCI 후 90일 DAPT군으로 Aspirin+ Clopidogrel(AC), Aspirin +Ticagrelor(AT), Aspirin+Prasugre(AP) 그룹이 각각 183,910명(79.01%), 37,290명(16.02%), 11,560명(4.97%) 임을 확인하였다. DAPT 90일 이후부터 150일 이상 처방된 환자로 DAPT군은 AC 145,134명 (81.42%), AT 24,239명 (13.59%), AP 8,889명 (4.99%) 이었다. SAPT군은 clopidogel (C) 6,338명 (84.49%), ticagrelor(T) 1,063명 (14.71%), prasugrel(P) 100명 (1.33%)이었다. PCI 후 12, 24개월 시점에서 확인한 SAPT vs. DAPT의 NACE aHR 은 1.05 (95% CI, 0.99-1.11, p=0.11), 0.99(95% CI, 0.95-1.04, p=0.79)였다. 항혈소판제별 (clopidogrel, ticagrelor, prasugrel) NACE 발생률은 clopidogrel의 경우 C와 AC 12개월 NACE는 1,215(19.17%), 23,155(15.95%), 24개월 NACE는 1,600(25.24%), 32,790(22.59%)건으로 모두 DAPT군에서 NACE 발생률이 낮지만 ticagrelor T와 AT 의 12개월 NACE 92(8.65%), 2,734(11.28%) 건 24개월 NACE는 144(13.55%), 4,257(17.56%)건 prasugrel의 경우 P와 AP 의 12개월의 NACE 6(6%), 860(9.67%)건 24개월의 NACE 16(16%), 1,428(16.06%)건으로 ticagrelor 와 prasugrel의 경우 SAPT에서 발생률이 낮았다. 결론: PCI 후 항혈소판제의 사용 시 전체 DAPT과 SAPT군에서 NACE의 발생위험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항혈소판제별 SAPT와 DAPT에서는 NACE 발생 위험도 차이가 있었다. Clopidogrel은 DAPT군에서 ticagrelor, prasugrel은 SAPT군에서 NACE 위험도가 낮았다. PCI 후 3개월 후 환자와 항혈소판제에 따라 DAPT 또는 SAPT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적 고려가 필요할 수 있다. 주제어: DAPT, SAPT, Clopidogrel, Ticagrelor, Prasugrel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Cardiovascular disease is a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s a common treatment for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nd has improved clinical outcomes. Dual antiplatelet therapy (DAPT) aspirin + P2Y12 inhibitor has been recommended for preventing secondary cardiovascular events undergoing ACS or PCI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rug utilization and clinical outcomes of post-PCI DAPT and change to single antiplatelet therapy (SAPT) in clinical practice using real-world data. Methods: This study used claim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of patients who underwent PCI for cardiovascular disease between 2015 and 2020. The primary endpoint was NACE (Net Adverse Clinical Events) at 12M and 24M after PCI. NACE consisted of events such as All-cause death, myocardial infarction, ischemic stroke, Revascularization, and bleeding. The N and % of events that occurred were calculated, and some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the incidence rate of 100 Person-years at Risk. The adjusted hazard ratios (aHR) results for each event between the DAPT and SAPT groups were compared. The survival curve for each group was tested through the Log-Rank Test. In addition,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diabetes status.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dentified 232,760 patients diagnosed with ACS who underwent PCI between 2015 and 2020. The initial DAPT use during 90-day post-PCI was 183,910 (79.01%) in AC, 37,290 (16.02%) in AT, and 11,560 (4.97%) in AP group out of a total of 232,760 patients. The DAPT use continuous for more than 150 days was 145,134 (81.42%) in AC, 24,239 (13.59%) in AT, and 8,889 (4.99%) in the AP group out of 178,262 patients excluding the switch to other antiplatelet. The SAPT use after 90 days post-PCI was 6,338 (84.49%)in C, 1,063(14.71%) in T, and 100(1.33%) in P groups out of 7,501 patients excluding the switch to other antiplatelets. The adjusted HR (aHR) of NACE in SAPT vs. DAPT was 1.05 (95% CI, 0.99-1.11, p=0.11) at 12M post-PCI and 0.99 (95% CI, 0.95-1.04, p= 0.79) at 24M post-PCI. Regarding the NACE incidence rate for each drug, Clopidogrel had a low NACE incidence rate in the AC group of both 12M and 24M DAPT, while Ticagrelor and Prasugrel had a low NACE incidence in the SAPT T and P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ACE of the DAPT and the SAPT, but some differences were found when comparing SAPT and DAPT for individual drugs rather than subtotal groups. This means that DAPT may not always be the best choice for all patient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therapeutic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individual antiplatelet drug selection.

more

목차

제1부 관상동맥중재술 후 항혈소판제 약물사용현황 1
제1장 연구의 배경 1
제2장 연구목적 3
제3장 연구방법 4
제4장 연구결과 6
제5장 고찰 11
제6장 결론 14
제2부 관상동맥 중재술 후 이중 및 단일 항혈소판요법의 임상적평가 15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5
제2장 연구목적 21
제3장 연구방법 22
제4장 연구결과 28
제5장 고찰 64
제6장 결론 70
참고문헌 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