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의 순차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Control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가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에 의해 순차매개 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445명의 자료를 PROCESS macro model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각각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이 완전매개하였다.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이 순차 매개하였다. 하지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주요 매개변인인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치료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rocrastination by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control. A total of 44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from 445 individual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revealed that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control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control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control, which are major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y identifying thes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provides a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pathways through whic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contributes to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by suggesting potential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study also presented its limitation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학업지연행동 4
2. 사회부과 완벽주의 6
3. 실패공포 10
4. 지각된 통제감 13
5.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의 순차매개효과 17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8
1. 연구 목적 18
2. 연구 문제 및 가설 18
3. 연구 모형 19
Ⅳ.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20
2. 측정 도구 20
3. 분석 방법 22
Ⅴ. 연구 결과 23
1. 연구 참가자 특성 23
2.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23
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분석 25
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분석 26
5.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와 지각된 통제감의 순차매개분석 28
Ⅵ. 논의 32
참고문헌 3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