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우울의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우울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9월 19일부터 2022년 9월 23일까지 수원시 소재의 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으며 이중 불충분한 응답을 하였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10명을 제외한 총 1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5)이 개발하고 최영진(2009)이 수정한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감정노동은 남혜리, 이지윤(2018)이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은 Radloff (1977)가 개발한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한국 상황에 맞도록 표준화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Pear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160점 만점에 평균 3.69±0.55점, 감정노동은 200점 만점에 평균 3.59±0.46점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60점 만점에 평균 18.39±10.46점이였으며 정상군(≤15)은 81명(47.6%), 경증 우울(16~20)은 27명(15.9%), 중증 우울(21≥)은 62명(36.5%)으로 나타났다. 2. 우울은 직무스트레스(r=.276, p<.001), 감정노동(r=.29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현 근무지 만족도(t=-2.258,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우울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감정노동(t=3.452, p=.001), 직무스트레스(t=2.479, p=.014)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β=.254)이었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3%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의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 병원차원의 인적 자원 관리 및 제도적 장치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용어의 정의 5
제2장 문헌고찰 7
제1절 간호사의 우울 7
제2절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9
제3절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계 11
제3장 연구방법 13
제1절 연구설계 13
제2절 연구대상 13
제3절 연구도구 15
제4절 자료수집방법 17
제5절 윤리적 고려 17
제6절 자료분석방법 18
제4장 연구결과 19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제2절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우울 21
제3절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우울의 상관관계 23
제4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차이 25
제5절 대상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27
제5장 논의 28
제1절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우울과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의 정도 28
제2절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우울 영향요인 32
제6장 결론 및 제언 36
제1절 결론 36
제2절 제언 37
참고문헌 38
부록 48
ABSTRACT 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