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착지원 법제 개선에 관한 연구 : -제3국 출생 자녀를 포함하여-

A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to Support for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Including Children Born outside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초록/요약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경제난을 계기로 북한을 벗어나 대한민국으로 넘어오는 북한이탈주민의 규모가 크게 증대되었다. 북한 이탈 과정 중 제3국에서 체류하는 기간이 길어져 그곳에서 출생한 자녀와 동반 입국하거나 보호자의 입국 후 제3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자녀를 초청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는 북한출생 자녀의 숫자를 앞서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에 대한 정착지원에 주목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들은 외국에서 출생하여 자랐기 때문에 한국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대한민국 사회에 적응 함에 있어 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와 정착에 관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원 대상에 해당하지 않기에 정착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즉 북한이탈주민의 자녀는 그 자녀의 출생지에 따라 정착지원에 대한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에 대한 정착지원 개선방안을 모색하면서 특히 제3국 출생 자녀의 정착지원 개선방안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가 겪는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고, 각종 정착지원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집행 행위의 근거가 되는 법제 개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방법론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와 그 가족인 북한이탈여성, 다문화 대안교육 기관의 교장, 관련 현장 전문가와 법조인 등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심층면접 등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정착지원 개선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질적 연구의 객관성을 보완하며, 공법적 이론을 중심으로 현행 법·제도의 문제점 분석을 병행하여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하는 생생한 현실을 반영한 정착지원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연구방법론을 법학 연구에 접목한 다(多)학제 간 연구라는 점에 있다. 질적 연구 방법에 따른 실태조사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가 겪는 주요한 문제로는 가족 구성원과의 분리로 인한 불안 등 심리·정서상의 문제, 정체성의 혼란, 가족 관계의 갈등, 문화적 차이와 정착 과정에서의 적응 스트레스, 언어 문제, 학업 부진, 학교생활 적응 및 또래 관계의 문제 등이 나타났다. 지원을 바라는 부분으로는 심리·정서, 교육, 경제·일자리에 관한 지원 욕구가 높았다. 조사의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보고자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고 시각화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자녀를 위한 정착지원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의 경우,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등을 두고 북한을 이탈하는 경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호대상자로 인정받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정착지원의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크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따른 교육지원에서 배제되어 있어 북한출생 자녀와 비교했을 때 학업 기회의 차별을 겪고 있으며, 각종 학비 면제 및 감면 등의 지원에서 배제되어 있어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같은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임에도 자녀의 출생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취급되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으므로, 북한이탈주민 가족 구성원으로서 그 자녀에 대한 차별 없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북한출생의 자녀도 교육지원에 있어 연령과 기간 한정 규정으로 인해 교육제도로의 진입과 학업 유지에 제한이 있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자녀는 가족과의 분리, 해체, 재결합 등의 상황에 놓이면서 정착 과정에서 다양한 심리·정서 및 가족 관계의 문제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가족 지원에 관한 규정은 전무하다.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와 그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가족이 실제 정착하여 살아가는 지역사회는 접근성과 반응성이 높아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성장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관련 사무에 관한 법적 권한이 충분하지 못하다. 질적 연구 결과와 분석에 따른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에 대한 정착지원 개선방안을 교육지원의 확대, 가족 중심의 지원,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착지원 강화의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호대상자로 인정하는 것을 바탕으로, 주요 정착지원 사항인 교육지원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법·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연령 제한과 기간 한정 사항을 폐지하여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체계로의 진입을 돕고 학업 유지를 보장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 가족에 대한 정의 규정 신설을 바탕으로 가족지원과 관련된 정책 및 사업을 명시하여 정착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심리·정서상의 문제, 가족 관계의 문제 등 북한이탈주민 가족과 관련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과 관련된 사무와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부여하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전담 조직과 전담 인력의 확충 및 지원 사업 활성화, 민관 네트워크의 활용 등을 통해 정착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조례에 따른 각종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정착지원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escaped North Korea and moved to South Korea greatly, which increased due to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the stay in the countrie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enter South Korea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or children living in third countries after their guardians enter the country. The number of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exceeds the number of children born in North Korea. In this point, attention should especially be paid to the settlement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re often unable to use Korean properly as they were born and raised in a foreign country, therefore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Howeve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re not eligible for support under the 「Act on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basic law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other words,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experiencing discrimination in settlement support depending on their birthplace.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improve settlement support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 particular, focuses on the methods to improve the support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his study focused on legislative reform, which is the basis for practical actions, to respond to the complex problems experienced by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complement the various limitations of settlement support.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re also performed o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ir families, North Korean women, principals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related field experts, and legal professionals, thereby exploring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settlement support systems. Furthermore, the objectivity of qualitative research was supplemented via linguistic network analysis. At the same time, problems in current law and systems based on public law theories have been analyzed. This study presents the improvement plan for settlement support which reflects the reality that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subject to discrimination.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ombin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with law studies. Through the qualitative survey, the main problems experienced by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includ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due to separation from family members, confusion of identity,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hips, cultural differences, and adaptive stress during the settlement process, language problems, academic difficultie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problems with peer relationships. The section they would like to get support indicates assistance with psychology/emotion, education, and the economy/jobs. A linguistic network analysis was visualized to impartially assess the survey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applied to the problems in the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children bor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s they did not experience leaving North Korea with an address or immediate family in North Korea, children are not recognized as a subject of protection according to 「North Korean Defectors Act」, which causes the biggest problem of blind spots in the settlement support system. Consequently,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re excluded from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Article 24 of 「North Korean Defectors Act」. In reality, they experience discrimination in academic opportunities and are in poor conditions for study; it is hard to get financial support and reduction compared to children born in North Korea. Children of the same North Korean defector are being treated differently based on where they were born, which may trigger a violation of the equality principle. For this basis, as a family me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must be provided without discrimination. In addition, children born in North Korea are restricted from entering the education system and maintaining their studies due to age- and time-dependent limitations in educational support. And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experiencing variou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situations such as separation, dissolution, and reunion with their families. But under the North Korean Defectors Act, there is currently no provision for settlement support to the family. Currently, the community wher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and the families who protect and nurture them settle down is highly accessible and responsive. Although thes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an play a major role in helping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 children successfully settle down and succeed, local governments also have insufficient legal authority for affairs related to re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sis, it was presented in three aspects: expansion of educational support, family-centered support, and reinforcement of settlement support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a third country as subjects of protection according to North Korean defectors, the legal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educational support, which is a major settlement support item. In addition, by abolishing the age limit and period limitation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necessary to help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 the educational system and ensure the maintenance of their studies. Additionally, specifying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family support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the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newly established regulations for the definition of the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systematic support must be provided to the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settlement process and issues in family relationships. In line with this, delegating tasks and authorities related to resettlement support is need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local government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ocal government-centered settlement support system through the expans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and manpower, vitalization of support projects, and utilization of public-private networks, and improve customized support-mediated effectiveness through ordinance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1. 연구의 범위 6
2. 연구의 방법 10
3. 자료 분석 방법 13
가. 자료 분석 작업 13
나. 연구 윤리성과 신뢰성·타당성의 확보 13
제2장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법적 지위와 현황 및 유형 15
제1절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필요성 15
제2절 북한이탈주민과 자녀의 법적 지위 17
1.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 17
2.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법적 지위 18
제3절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유형과 현황 22
1.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유형 22
2.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현황 23
제3장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착에 관한 실태분석 29
제1절 실태분석의 필요성과 주요 방법론 29
제2절 북한이탈여성 대상 초점집단면접 34
1. 초점집단면접의 특징과 절차 34
2. 북한이탈여성 대상 초점집단면접 분석 결과 39
가. 북한 이탈 경험 39
나. 분리로 인한 심리·정서상 문제와 가족관계 형성 등의 문제 40
다. 일자리, 경제 문제 41
라. 학교생활 적응 문제 43
마. 전담 조직 부재 45
바. 필요한 지원 내용 46
3. 소결 46
제3절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와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 49
1. 심층면접의 특징과 절차 49
2. 제3국 출생 자녀에 대한 심층면접 분석 결과 50
가. 심리·정서적 문제와 지원 체계의 부재 50
나. 미미한 언어 지원 체계 53
다. 일자리, 경제 문제 53
3. 다문화 대안교육 기관 교장에 대한 심층면접 분석 결과 54
가. 심리·정서 및 발달상의 문제 55
나.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학교의 필요성 56
다. 공공기관에 대한 두려움과 북한이탈주민 공동체 중심의 문화 57
4. 현장 실무자 대상 심층면접 분석 결과 58
가. 북한 이탈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58
나. 제3국 출생 자녀들이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59
다. 정착지원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59
라. 법제 개선 방향 61
마. 전달체계 개선 방향 61
5. 소결 62
제4절 언어 네트워크 분석 65
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특징과 필요성 65
2. 언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 절차 67
3.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74
가. 탈북과정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74
나. 남한 사회로의 정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78
다.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83
라. 필요한 전달체계와 법·제도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86
마. 정착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90
4. 소결 95
제5절 실태분석의 요약 103
제4장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정착지원 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107
제1절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정착지원 제도 개선 필요성 107
제2절 독일법제에서의 시사점 110
1. 동독 이탈주민과 그 자녀에 대한 서독의 지원 법제 110
2. 시사점 115
제3절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착지원 강화 119
1. 정착지원 체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119
2.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착지원 강화를 위한 법적 근거 128
3.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착지원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 130
가. 조례 현황과 제·개정 필요성 131
나. 사무·예산 및 조직의 확충 135
4.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착지원 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142
제4절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150
1. 교육지원의 법적 근거 151
가. 평등의 원칙 151
나. 교육받을 권리 154
2. 교육지원 현황과 문제점 159
가. 학력·자격 인정 159
나. 입학·전학 및 편입학 절차 161
다. 각종 교육 지원 162
라. 제3국 출생 자녀에 대한 중점적 지원 필요성 170
3. 교육지원 확대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173
제5절 가족 단위 중심의 지원 176
1. 가족 단위 중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176
2. 제3국 출생 자녀에 대한 중점적 지원 필요성 178
3. 가족 단위 중심의 지원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180
가. 법률 개정 방안 181
나. 조례 개정 방안 190
제6절 소결 194
1. 실태분석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 착안점 194
2.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정착지원 법제 개선방안 195
제5장 결론 198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98
1. 초점집단면접과 심층면접 분석 결과 198
2.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199
3.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착지원 관련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201
제2절 결어 205
참고문헌 207
부록 1. 현장 실무자와 법조인 등 전문가 집단 심층면접 요약 222
부록 2. 경기도 시·군 북한이탈주민 거주 현황과 관련 사업 및 예산 235
[Abstract] 23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