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감과 정서인식 및 표현과 얼굴표정간의 관계 : Facial Expression Analysis를 활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Facial Expression : through Facial Expression Analysis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expressions measured by FEA (Facial Expression Analysis) and self-reported empathy,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facial expression change awareness. 46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measure their facial expressions while watching videos that induce joy, sadness, anger, and fear and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the degree of empathy,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subjective facial expression change awareness before and after watching the video.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group of levels of facial expression chan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s ​​of joyful, angry,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d facial expres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angry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s, and female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males, but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joyful and sad facial expressions.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expressions measured by FEA and the self-reported variables, cognitive empathy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facial expression measured, and affective empath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yful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 measured. Emotional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arful facial expression measurement. Emotional expression was not correlated with any facial expression measurement. The degree of subjective facial expression change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joyful facial expression measured valu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reported affective empathy, the more emotions were revealed through facial expressions,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elf-reported emotional expression had nothing to do with the degree to which emotions were revealed through facial expressions.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FEA(Facial Expression Analysis)로 측정한 얼굴표정과 자기보고식 공감, 정서인식 및 표현, 주관적 표정변화 인식정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6명을 대상으로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을 유발하는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나타나는 표정을 측정하였고, 영상 시청 전후로 공감과 정서인식 및 표현, 주관적 표정변화 인식정도 자기보고식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표정변화 고저 집단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기쁨, 분노, 두려움표정측정값에서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슬픔표정에서는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분노, 두려움 표정측정값에서 차이가 유의하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나, 기쁨과 슬픔표정에서는 성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주요변인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공감은 어떤 표정측정값과도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고, 정서적공감은 기쁨과 두려움표정측정값에서 정적상관이 있었다. 정서인식은 두려움표정측정값과 부적상관이 있었다. 정서표현은 어떤 표정측정값도 상관이 없었다. 주관적표정변화인식정도는 기쁨표정측정값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이를 통해 자기보고식 정서적공감수준이 높을수록 표정을 통해 정서가 많이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자기보고식 정서표현수준은 표정을 통해 정서가 드러나는 정도와는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3
1. 공감 3
1) 공감의 정의 및 구성요소 3
2) 공감의 중요성 4
3) 정서전염과 공감간의 관계 5

2. 정서인식 및 표현 5
1)정서인식 및 표현의 정의, 중요성 5
2) 기존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 6

3. 얼굴표정 7
1) 얼굴과 정서 인식 및 표현간의 관계 7
2) 공감과 얼굴표정간의 관계 7
3) 문화보편적 감정 9
4) 기존 얼굴표정 연구의 한계 및 FEA(자동화된 FACS)의 필요성 10

III. 연구목적 및 가설 13

IV. 연구방법 14
1.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14
2.연구도구 14
1)정서인식 : 특질상위기분척도(TMMS, Trait-Meta Mood Scale) 14
2)정서표현 : 정서표현성척도(EE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14
3)공감 : 대인관계반응지수(IRI,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15
4)주관적 표정변화 인식정도 15
5)영상 시청 후 느낀 감정 평정 15
6) Facial Expression Analysis 16
7)실험실 및 장비 17
3.실험자극 18
1)영상 내용선정 18
2)영상 길이 20
3)영상 순서 20
4.연구절차 21
5.자료분석 23
1)표정측정값처리시 제외기준 및 변수처리방법 23
2)통계분석 26

V. 연구결과 27
1.정서유발자극의 타당성 검증 27
2.표정변화 상위30%, 하위30% 집단에 따른 평균차이 분석 29
3.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분석 30
4.주요변인간의 상관분석 31

VI. 논의 33

참고문헌 3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