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상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외상을 경험한 외상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권역외상센터에서 퇴원 후 외상외과 외래를 방문한 119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Weathers(1993)가 개발하고 김종원(2017)이 번안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체크리스트(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Korean version)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다차원 사회적 지지척도(Multidimens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Wanner 등(2015)이 외상환자를 특정하여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Trauma-Specific Quality of Life Measurement)를 Herrera-Escobar 등(2020)이 수정한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80점 만점에 평균 21.37±14.29, 사회적지지는 60점 만점에 평균 45.55±9.45, 삶의 질은 90점 만점에 평균 50.01±13.51점이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F=5.416, p=.006), 종교(t=-2.99, p=.003)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상적 특성 중 헤모글로빈(t=-3.131, p=.002)과 Injury severity score(ISS, 손상 중증도 점수)(t=2.399, p=.018), 복부손상(t=2.844, p=.005), 사지 및 골반 손상(t=4.595, p<.001), 외부 손상(t=3.354, p<.001)에 따라 삶의 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지지(r=.22, p=.019)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삶의 질과 외상 후 스트레스(r=-.46,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 종교, 헤모글로빈, ISS, 복부 손상, 사지 및 골반 손상, 외부 손상,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지지를 포함한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11.41, p<.001), 외상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44%였다. 외상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β=-.36, p<.001), 사지 및 골반 손상(β=-.29, p<.001), 복부 손상(β=-.18, p=.017), 연령(β=.17, p=.019), 헤모글로빈(β=.16, p=.024), 종교(β=.14, p=.049) 순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환자의 손상 부위, 연령, 헤모글로빈에 따라 삶의 질이 낮을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를 조기에 파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의 조기사정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해 외상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cross-sectional survey aimed at evaluating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trauma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moderate to severe trauma, as well as explo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Data was collected from 119 individuals who visited the trauma outpatient department of a regional trauma cent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rom June to October 2022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Post-traumatic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Korean version, developed by Weathers (1993) and adapted by Kim Jong-won (2017).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Zimet et al. (1988) and adapted by Shin Joon-seob and Lee Young-boon (1999).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Trauma-Specific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y Wanner et al. (2015) specifically for trauma patients, and adapted by Herrera-Escobar et al. (202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participants was an average of 21.37 ± 14.29 out of 80 points. The social support level was an average of 45.55 ± 9.45 out of 60 points.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an average of 50.01 ± 13.51 out of 90 point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by age (F=5.416, p=.006) and religion (t=-2.99, p=.003), hemoglobin (t=-3.131, p=.002), Injury Severity Score (t=2.399, p=.018), abdominal injury (t=2.844, p=.005), limb and pelvic injury (t=4.595, p<.001), and external injury (t=3.354,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participants (r=.22, p=.019),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stress (r=-.46, p<.001). 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age, religion, hemoglobin, ISS, abdominal injury, limb and pelvic injury, external injury, post-traumatic stress, and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rauma-related quality of life (F=11.41, p<.001). The model explained 44% of variance of quality of lif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patients with trauma were as follows, post-traumatic stress (β=-.36, p<.001), limb and pelvic injury (β=-.29, p<.001), abdominal injury (β=-.18, p=.017), age (β=.17, p=.019), hemoglobin (β=.16, p=.024), and religion (β=.14, p=.049).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specific individuals among trauma patients based on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of injuries, age, and the level of hemoglobin. Additionally, early assessment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ograms targeting post-traumatic stress may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rauma patients.

more

목차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외상환자의 삶의 질 7
B. 외상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9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분석방법 16
F.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결과 18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18
B. 대상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삶의 질 22
C.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24
D. 대상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28
E.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요인 29

Ⅴ. 논의 31

Ⅵ.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39

ABSTRACT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