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 대상 탈자기몰입 공감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mpathy Program Focused on Reducing Self-Absorption in Adolescents.

초록/요약

Adolescence is a period of change and challenges, as well as a time for developing identity and morality. The interpersonal skills during adolescence have a lasting impact on adult relationships, particularly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social behavior,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interpersonal and moral development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mpathy. Emotional contagion has been reported as a mixed result of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requiring further research. In Study 1,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was examined, assuming that empathy mediates the influence of emotional contagion on prosocial behavio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prior research suggested self-absorp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contagion, empathy, and self-absorption on prosocial behavior were examined. Based on this, in Study 2, a program aimed at reducing self-absorption and enhancing empathy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Study 1 revealed that, first, emotional contag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empathy on prosocial behavior, indicating that empathy explains some of the effects of emotional contagion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bsorption was evid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showing that as the level of self-absorption decreases,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decreases. Building on the results of Study 1, in Study 2, a detachment-based empathy program was developed to reduce self-absorption and enhance empathy. Firstly, ten activities were designed with core themes of cultivating interest in oneself and others, understanding emotional boundaries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regulating emotions for reducing self-absorption; and accepting others' perspectives, enhancing emotional recognition of oneself and others, and practicing empathetic expression for enhancing empath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ver five sessions.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elf-absorption, empathy, and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were measured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he intervention group, self-absorption decreased, while empathy and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increased,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providing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variable research and verified self-absorp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Furthermore, by applying these findings to develop a program and confirming its effectiveness, it provided reliable theoretical evidence.

more

초록/요약

청소년기는 변화와 도전을 겪는 시기이며 동시에 정체성과 도덕성을 발달시켜갈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대인관계 역량은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그 중 긍정적 심리특성인 친사회적 행동은 대인관계와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요소이며 중요한 요소이며 공감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서전염은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혼재된 결과가 보고되는 변인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했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를 고찰하여, 정서전염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감이 매개함을 가정하였다. 또한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몰입을 조절변수로 도출하고, 정서전염, 공감, 자기몰입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 2에서는 자기몰입 감소와 공감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연구 1의 결과, 첫째, 정서전염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전염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일부를 공감이 설명해주고 있음을 시사했다. 둘째, 정서전염과 공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조절효과가 나타나 자기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전염과 공감간의 정적 상관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1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2에서는 자기몰입을 낮추고, 공감을 증진시키는 탈(脫)자기몰입 공감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자기몰입 감소를 위해 자기와 타인에 대한 관심 배양, 자기와 타인의 정서적 경계알기, 정서를 조절하기를, 공감 능력 증진을 위해 타인의 조망 수용하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인식, 공감적 표현을 연습하기를 핵심주제로 선정하여 10개의 활동을 구성하고, 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몰입, 공감, 정서인식명확성을 사전, 사후, 추후에 걸쳐 3회 측정하고,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치집단의 경우, 자기몰입은 감소하고, 공감과 정서인식 명확성은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변인연구를 통해, 정서전염과 공감,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조절변수로 자기몰입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실제에 적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신뢰로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7
1. 정서전염 7
1) 정서전염의 정의와 관련 이론들 7
2) 정서전염과 심리적 웰빙과의 관계 9
2. 공감 10
1) 공감의 정의 및 특성 10
2) 정서전염과 공감의 차이점 13
3) 정서전염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15
3. 친사회적 행동 17
1) 친사회적 행동의 정의 및 특성 17
2) 정서전염, 공감,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18
4. 자기 몰입 20
1) 자기몰입의 정의 및 특성 20
2) 정서전염과 공감간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조절 효과 22
5. 공감 프로그램 24
1)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감 프로그램 고찰 24
2) 자기몰입에 대한 개입 및 프로그램 26
3) 기존 프로그램의 한계점 및 본 프로그램 방향 27
III. 연구문제 및 가설 29
IV. 연구1 청소년의 정서전염, 자기몰입,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31
1.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1
2) 측정도구 31
3) 자료 분석 34
2. 결과 34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4
2) 정서전염, 공감,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35
3. 논의 37
V. 연구2 탈자기몰입 공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40
1. 목적 40
2. 프로그램의 개발 42
1)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42
2)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47
3.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58
1) 연구방법 및 절차 58
2) 연구 결과 63
4. 논의 71
VI. 종합논의 75
참고문헌 81
부록 10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