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극소저체중출생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시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정도를 파악하고,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과 강원도 소재의 1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다가 퇴원하는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어머니 127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 정도는 실천이 100명(78.7%), 중단이 27명 (21.3%)이었다. 2. 대상자의 모유수유 지식 점수는 28점 만점에 16.45±4.06점으로 평균 정답률은 60.9%이었다. 모유수유 태도 점수는 100점 만점 중 77.83±8.48점이었으며, 모아애착은 104점 만점 중 98.54±6.14점, 남편의 지지는 35점 만점 중 30.69±4.03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여부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유수유 지식(t=2.80, p=.006), 모유수유 태도(z=-3.61, p<.001), 남편의 지지(z=-2.54, p=.01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모아애착(z=-0.37, p=.71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출생체중(t=2.05, p=.042)과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t=-2.53, p=.013) 두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퇴원 시 모유수유 실천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모유수유 실천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출생체중, 입원기간,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남편의 지지 총 5개 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편의 지지(OR=1.17, p=.013), 모유수유 지식(OR=1.16, p=.033), 신생아의 입원기간(OR=0.97, p=.038)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극소저체중출생아 퇴원시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기 위하여 남편의 지지를 강화하고 모유수유 지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지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일반 신생아와 건강상태, 환경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극소저체중출생아에 특성화된 모유수유 정보제공과 부모 지지가 필요하겠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모유수유 8
B.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 수집 방법 20
E. 윤리적 고려 21
F. 자료 분석 방법 22
Ⅳ. 연구결과 23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모유수유 관련 특성 23
B.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과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및 남편의 지지 28
C. 모유수유 실천군과 중단군의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의 차이 35
D. 모유수유 실천군과 중단군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관련 특성의 차이 36
E. 극소저체중출생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Ⅴ. 논의 42
A. 극소저체중출생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 42
B. 극소저체중출생아 퇴원시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 영향요인 48
C.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53
Ⅵ.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6
Abstract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