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of ICF-based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Exercise Intervention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초록/요약

Recent studies have linked frailty and sarcopenia, which ar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ging, to oral health. As a result,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enhance oral health in older adults through interventions involving oral exercis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nsensus on methods for oral exercise interventions, outcome indicators, and conceptual definitions. This study aims to review interventions for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in older adults, specifically focusing on oral exercises. The study also aims to propose standardized concepts and intervention domains for these exercises and validate them through Delphi survey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o identify scientifically proven or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Literature searches of PubMed, Ovid Embase, the Cochrane Library, and the CINAHL databases until August 2022. The extracted studies were then analyz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The results of this review were used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and intervention domains for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exercises, which we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The validity of these concepts was assessed through a Delphi survey conducted with eight experts. A total of 1,631 literatures were search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19 articles were selected. Among these, eight studies were suitable for meta-analysis.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masticatory exercise significantly improved occlusal for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ean difference = 37.77; 95% Confidence Interval [CI]: 15.61-59.92; p < 0.001). Tongue exerci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ongue pressure (Mean difference = 7.06; 95% CI: 4.72-9.41; p < 0.01). While lip exercis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p pressure (mean difference = 1.43; 95% CI: -0.11-2.98; p = 0.07).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developed ICF-based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exercise achieved content validity through two Delphi surveys. The intervention domai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based on oral function, with a total of 11 intervention subdomain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The terminology and conceptual definitions of each intervention domain were validated through two Delphi surveys, with revisions made based on expert opinions. The competence of dental personnel and dental hygienists in providing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older adults has been confirmed.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in oral function rehabilitation by synthesizing existing evidence on oral exercise interventions and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The structured terminology and conceptual definitions of intervention domains can facilitate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oral exercise interventions, improve clarity, and help intervention providers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intervention.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and intervention domains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who are working on oral health promo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more

초록/요약

고령화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노인의 기능상태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정책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건강노화의 위험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노쇠와 근감소증이 구강건강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밝혀지면서 노인의 구강건강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노인의 구강기능개선을 위한 구강운동 중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중재 방법과 결과지표, 그리고 구강운동중재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합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기능재활을 위한 구강운동중재를 검토하고,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표준화된 구강기능재활운동의 개념과 중재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노인을 위한 구강운동중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22년 8월까지 PubMed, Ovi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검색원에서 구강운동중재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는 무작위대조임상연구에 관한 전자검색을 수행하였으며, 변량효과모형을 이용하여 평균차를 효과크기로 추정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ICF모형기반의 구강기능재활운동중재의 개념적 틀 및 중재영역을 개발하고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총 1,631편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이 중 19편의 문헌이 도출되었다. 이 중 효과크기를 산출할 수 있는 연구 8편을 메타분석에 활용하였다. 메타분석에서 저작 운동의 경우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교합력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Mean difference=37.77; 95% Confidence Interval 15.61-59.92; p<0.001) 혀운동의 경우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설압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Mean difference=7.06; 95% Confidence Interval 4.72-9.41; p<0.01). 입술운동의 경우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구순압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Mean difference=1.43; 95% Confidence Interval -0.11-2.98; p=0.07). 개발된 ICF기반 구강기능재활운동의 개념적 틀은 2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강기능재활운동의 중재영역은 구강기능에 따라 4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중재방법에 따라 총 11개의 중재세부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중재영역의 용어와 정의는 전문가 의견을 통하여 수정 및 보완 후 2회차 델파이조사에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노인들에게 구강기능재활운동을 제공하는 인력으로 치과인력과 치과위생사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구강기능재활운동중재의 개념적 틀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구강기능재활의 연구방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과 기존의 구강운동중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과학적으로 그 효과 크기를 검증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구강기능재활운동의 중재영역 용어와 정의들은 구강운동중재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영역별 개념을 명확히 하며, 중재제공자에게 각 중재의 속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기능재활운동의 개념적 틀과 및 중재영역 구성안은 향후 지역사회 노인들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서비스를 개발하는 임상가,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I. Introduction 1
A. Background 1
B. Study aim 8
C. Research question 8
D. Literature review 9
1. Oral function 9
2. Oral exercise 13
3. Geriatric rehabilitation 14
4. ICF model 15
5. Oral health management in integrated care system 19
II. Methodology 23
A. Study methods 23
B. SR 24
1. SR 24
2. Study protocol 25
3.Key question 25
4. Search strategy 27
5. Selection criteria 30
6. Study selection 31
7. Quality assessment 31
8. Meta analysis 31
C. Delphi survey 33
1. Study methods 33
2. Study population 33
3. Contents 35
4. Analysis 47
Ill. Results 51
A. SR 51
1. Search results and study selection 51
2. Risk of bias assessment for included studies 52
3.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55
4. Meta analysis 80
B. Design for the OFRE System based on the ICF model 83
1. Draft of the OFRE system 83
2. Results of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survey 86
3. Draft model 2: OFRE system 125
4. Results of the second round of the Delphi survey 129
5. Finalized OFRE system 163
IV. Discussion 169
V. Conclusion 190
Reference 191
Appendix 203
국문요약 2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