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카자흐스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평음-격음-경음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obstruents for Kazakhstan learners

초록/요약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며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기관의 수 역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에서도 카자흐스탄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평음-격음-경음의 지각 및 산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발음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자음 체계를 대조하고 카자흐스탄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 중 보이는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카자흐스탄의 한국어 학습자 중 초급-중급 학습자들로 나누어 실험 대상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 대상에게 음성 지각 프로그램인 Kalvin을 이용해 지각 실험과 산출 실험을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를 살펴보고 분석했다. 실험의 결과, 카자흐스탄 초-중급 학습자가 한국어 평음은 잘 구별하나, 격음과 경음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것과 카자흐어에 없는 기식성에 따라 구분되는 삼지적 대립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이 초급에서 중급으로 갈수록 오류율이 축소되는 것은 맞지만 오류율의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본 연구를 하며 진행한 실험에서 실험 대상자들은 인지와 발화 측면에서 오류 양상을 비슷하게 보였고, 이는 카자흐스탄인 한국어 초-중급 학습자들 모두 격음의 인지와 발화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평음-격음-경음 지각 및 산출 실험을 한 결과, 카자흐스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이는 오류울 중 한국어 격음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별로 실험한 결과, 한국어 파찰음의 오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카자흐스탄인 학습자들을 위해 단계별로 설정된 한국어 평음-격음-경음 교육 방안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교수 방안을 제시하자면, 학습 목표와 주제를 바탕으로 PPP 수업 모형을 적용해 학습자들이 한국어 평음-격음-평음을 듣고 그 차이를 구별해 오류 없이 발음하고 실제 발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양한 언어권에서 한국어의 학습과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카자흐스탄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자료가 부족한 편이며 한국어의 평음-격음-경음에 대한 연구 역시 타 언어권 학습자들 대상으로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카자흐스탄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며 해당 상황에 대해 더 깊이 확인할 수 있었고, 이제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카자흐스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에 이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카자흐스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방법 및 구성 10
2.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자음 체계 13
2.1. 한국어의 자음 체계 14
2.2. 카자흐어의 자음 체계 18
2.3.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자음 체계 대조 23
3. 카자흐스탄인 학습자의 평음-격음-경음 지각 및 산출 실험 27
3.1. 실험 내용 및 실험 대상 27
3.2. 지각 실험 29
3.2.1. 지각 실험 방법 29
3.2.2. 지각 실험 결과 34
3.3. 산출 실험 52
3.3.1. 산출 실험 방법 52
3.3.2. 산출 실험 결과 53
4. 한국어 평음-격음-경음 교육 방안 76
4.1. 한국어 평음-격음-경음 발음 교육 수업의 절차와 구성 76
4.2. 교육 방안 81
5. 결론 97
참고 문헌 101
Abstract 10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