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복합외상경험자들의 감각기반기억표상이 복합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의 순차매개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복합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감각기반 기억표상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가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에 의해 순차매개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 영역에서 경험 횟수가 2회 이상’ 있다고 응답한 참가자 314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기반 기억표상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의 순차 매개를 통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감각기반 기억표상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의 개별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외상 관련 기억문제인 감각기반 기억표상이 외상 후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를 통합적으로 확인했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단순외상 경험자가 아닌 복합외상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연구함으로써 기억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넓히고, 이들에게 유용한 치료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복합외상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4
2.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3
1. 연구 목적 13
2. 연구 문제 및 가설 13
3. 연구 모형 14
Ⅳ. 연구 방법 17
1. 연구 대상 17
2. 측정 도구 17
3. 분석 방법 19
Ⅴ. 연구 결과 20
1. 연구 참가자 특성 20
2.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21
3. 측정모형 검증 22
4. 연구모형, 경쟁모형 검증 24
5. 매개효과 검증 29
Ⅵ. 논의 30
참고문헌 35
부록 41
ABSTRACT 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