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명상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를 향상할 수 있는가 : 마음챙김과 자비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명상기반의 프로그램이 지속가능성의 태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현재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의 확산에 따라 지구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UN은 2015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7가지의 의제를 채택하였다. 다국적 기업에서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하나로 100% 재생에너지와 노동환경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친환경과 친사회성이 개인의 안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개인적 측면에서 지속가능성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관심에 따라 개인적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인 지속가능태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명상기반 프로그램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다차원적인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제학적이고 다차원적인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개인적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의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도구를 통해 명상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 1-1에서는 관련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지속가능태도의 구조 개념을 탐색하고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과도한 자본주의적 가치와 경쟁주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측면으로 공감, 연결감과 같은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의무감을 탐색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정서로는 미안함, 죄책감, 만족, 행복이 있으며, 지속가능성에 관한 행동으로는 소비를 줄이고, 채식위주의 식습관 등의 구조 개념을 탐색할 수 있다. 연구 1-2에서는 이론적 탐색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지속가능태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라고 명명하고, 하위요인으로 ①공동체, ②친환경 ③생명중심 3요인으로 설정한 뒤 각 요인에 맞는 60개의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10명의 관련분야 종사자에게 확인받았으며, 분석결과 총 45개의 문항을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34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6개 문항의 3요인의 지속가능한 삶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후 439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낮은 1문항을 제외한 최종 15문항의 지속가능한 삶 척도를 개발하였다. 2개월 뒤 진행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22로 개발된 척도가 신뢰롭게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척도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 증분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지속가능한 삶의 척도의 구성개념이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1에서는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마음챙김과 자비가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탈자기중심을 두 변수를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연구모형으로 두 독립변인이 동시에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은 지속가능한 삶의 관계에서 탈자기중심이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자비는 부분매개 모형으로 설정하였고, 경쟁모형으로는 마음챙김이 지속가능한 삶에 부분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2에서는 명상기반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삶에 미치는 효과와 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음챙김명상 집단, 자비명상 집단, 무처치 집단으로 나누어 온라인을 통해 4주 동안 집단에 맞는 처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비는 자비명상 집단에서만 사전사후 차이가 나타났고, 마음챙김은 집단 간 그리고 사전사후의 유의한 주효과 차이가 없었고 유의한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자비명상 집단에서만 사전사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탈자기중심에서는 사전사후 주효과 차이만 나타났으며, 정신적 웰빙척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웰빙에서 자비명상 집단만이 사전사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전동질성이 확보되지 못한 정신적웰빙 척도의 정서적 웰빙, 심리적 웰빙의 공분산분석 결과 모두 사후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명상프로그램에 따른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효과에서 탈자기중심의 매개효과와 명상프로그램에 따른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의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나,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그리고 자비와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의 관계에 대한 탈자기중심의 매개효과 기제를 확인하였다는 것, 그리고 명상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차원적 개념의 지속가능태도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를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결론에서 제언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6
1) 지속가능성의 개념 6
2)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 14
3) 마음챙김 그리고 자비와 지속가능성의 관계 17
3. 연구 문제 21
1)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구 1 21
2)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와 마음챙김 그리고 자비의 이론 모형 검증 23
3)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에 대한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25
Ⅱ.본론 27
1. 연구 1: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7
1-1. 예비연구: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개념구조 탐색 27
가.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개념 탐색을 위한 인터뷰 28
1) 연구 방법 28
2) 자료 분석 30
3) 결과 32
4) 논의 35
나. 예비문항 선정 및 전문가 평정 38
1) 예비문항 선정 38
2) 예비문항 평정 41
다. 예비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45
1) 연구 방법 45
2) 연구 결과 46
3) 논의 51
1-2. 최종문항 선정 및 타당화 53
1) 연구 방법 53
가. 확인적 요인분석 54
1) 연구 방법 54
2) 연구 결과 55
나.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화 57
1) 검사-재검사 신뢰도 59
2) 타당화 60
3) 논의 68
2. 연구 2: 명상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72
2-1.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와 마음챙김 그리고 자비의 이론모형 검증 72
1) 연구 방법 73
2) 연구 결과 75
3) 논의 78
2-2. 명상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 미치는 효과 81
1) 연구 방법 81
(1) 참가자 모집 81
(2) 연구절차 및 프로그램 구성 82
(3) 측정 도구 84
2) 연구 결과 86
(1) 사전동질성 검사 86
(2) 명상프로그램의 효과 87
(3) 명상 프로그램 효과에 따른 종속변수별 관계 98
3) 논의 99
Ⅲ. 결론 및 논의 103
참고문헌 11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