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관용 표현 대조 연구 : -신체 부위가 포함된 관용 표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어와 튀르키예어를 대상으로 신체 부위를 포함한 관용 표현을 분석하여 양 언어의 관용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양 언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신체 부위 ‘머리’, ‘눈’ ,‘ 입’, ‘귀’, ‘코’, ‘손’, ‘발’이 포함된 관용 표현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관용 표현은 각 나라의 역사, 문화, 풍습과 같이 언어생활 속에서 형성되어 그 나라 사람들의 언어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관용 표현은 구성 요소의 의미의 합으로 설명될 수 없는 용법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나라의 역사, 문화, 풍습을 잘 알지 못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관용 표현의 이해와 사용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많은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관용 표현을 잘못 이해하고 판단하거나 상황에 맞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를 참고하여 관용 표현을 ‘언어생활에서 둘 이상의 어휘가 결합하여 하나의 표현이 된 것으로서 언어생활에서 관습적으로 새로운 의미로 통용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관용 표현을 형식적 차원에서 관용구와 관용절로 분류하였고 의미적 차원에서 의미의 투명성 정도가 낮은 관용 표현과 의미의 투명성 정도가 높은 관용 표현을 분류하였다. 또한 양 언어의 관용 표현을 대조하기 위해 먼저 신체 부위 ‘머리’, ‘눈’, ‘입’, ‘귀’,‘코’, ‘손’, ‘발’의 양 언어에서의 사전 의미를 검토하고 양 언어의 관용 표현을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구성요소는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구성요소는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서 '눈'이 포함된 관용 표현이 가장 많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눈'이 포함된 관용 표현이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에서 가장 많이 대응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머리'가 포함된 관용 표현 중에 구성요소가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언어생활에서 '머리'가 가지는 의미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튀르키예인 학습자들은 튀르키예어 관용 표현과 한국어 관용 표현을 대조하여 공부함으로써 더 유창한 한국어 의사소통 실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을 할 때 관용 표현의 의미와 의미의 투명성 정도를 같이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범위 및 방법 6
2. 기본적 논의 8
2.1. 관용 표현의 개념 8
2.2. 관용 표현의 분류 13
2.2.1. 형식적 차원의 분류 13
2.2.1.1. 관용구 13
2.2.1.2. 관용절 14
2.2.2. 의미적 차원의 분류 16
2.2.2.1. 의미의 투명성 정도가 낮은 관용 표현 16
2.2.2.2. 의미의 투명성 정도가 높은 관용 표현 17
3. 신체 부위 관용 표현의 대조 분석 19
3.1. '머리'가 포함된 관용 표현 19
3.1.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20
3.1.2. 구성요소가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22
3.1.3. 구성요소가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26
3.1.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28
3.1.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28
3.1.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30
3.2. '눈'이 포함된 관용 표현 34
3.2.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35
3.2.2. 구성요소는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38
3.2.3. 구성요소는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41
3.2.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42
3.2.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42
3.2.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45
3.3. '입'이 포함된 관용 표현 49
3.3.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50
3.3.2. 구성요소가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51
3.3.3. 구성요소가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55
3.3.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56
3.3.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56
3.3.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58
3.4. '귀'가 포함된 관용 표현 62
3.4.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63
3.4.2. 구성요소는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64
3.4.3. 구성요소는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67
3.4.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68
3.4.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68
3.4.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70
3.5. '코'가 포함된 관용 표현 71
3.5.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71
3.5.2. 구성요소는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72
3.5.3. 구성요소는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74
3.5.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74
3.5.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75
3.5.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75
3.6. '손'이 포함된 관용 표현 77
3.6.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77
3.6.2. 구성요소는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80
3.6.3. 구성요소는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82
3.6.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83
3.6.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83
3.6.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86
3.7. '발'이 포함된 관용 표현 89
3.7.1. 구성요소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89
3.7.2. 구성요소가 다르나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90
3.7.3. 구성요소가 유사하나 의미가 다른 관용 표현 91
3.7.4. 각 언어에 고유한 관용 표현 92
3.7.4.1.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92
3.7.4.2. 튀르키예어에만 있는 관용 표현 94
4. 결론 97
참고문헌 99
Abstract 103
Özet 10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