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rminal Care Stress and Attitude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수행의 정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 A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간호사 20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 후 2023년 03월 06일부터 2023년 03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스트레스 도구, Frommelt (1991)이 개발하고, 조혜진, 김은심(2005)이 번안한 임종간호태도 척도(Frommelt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도구,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9.0.0 통계프로그램의 기술통계,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총 200점 만점에 평균 142.11±22.97점(문항평점 3.55±0.57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인간적 갈등이 3.70±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는 총 120점 만점에 80.95±6.67점(문항평점 2.70±0.22점)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수행은 총 88점 만점에 58.01±7.95점(문항평점 2.64±0.36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문항평점을 보면 신체적 영역이 평균 3.08±0.4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적 영역이 1.67±0.5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임종간호스트레스(r=.28, p<.001), 임종간호태도(r=.28, p<.001)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성별(t=-2.06, p=.041), 임종간호교육을 받은 경험(t=-2.33, p=.021)에 따라 임종간호수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종간호스트레스(β=.18, p=.035), 임종간호태도(β=.17, p=.043), 임종간호교육을 받은 경험(β=.16, p=.03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수에 의해 임종간호수행의 11.7%가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는 임종간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임종간호교육을 받은 경험도 임종간호수행에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가 임종기의 환자에게 질 높은 임종간호수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임종간호스트레스의 해소방안을 마련하여 적절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임종간호수행이 높아지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임종간호수행은 임종간호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중환자실 임종 상황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rminal care stress,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study population was 206 nurses working in the ICU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 city, Gyeonggi-do, who ha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06, 2023, to March 20, 2023,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Youn Ok Lee’s (2004) terminal care stress tool, the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Scale developed by Frommelt (1991) and adapted by Hea jin Cho and Eun sim Kim (2005), and Soon joo Park’s (1996) terminal care performance tool were the tools us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IBM SPSS statistics ver 29.0.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rom a total of 20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erminal care stress was 142.11 ± 22.97 points (Item score: 3.55 ± 0.57). Among the subdomains of terminal care stress, participants’ scores were highest for interpersonal conflicts (3.70 ± 0.67). From a total of 12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erminal care attitude was 80.95 ± 6.67 points (Item score: 2.70 ± 0.22). The average scor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58.01 ± 7.95 from a total score of 88 (Item score: 2.64 ± 0.36). Upon examining the item score for the subdomain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physical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3.08 ± 0.47), while the spiritual domain had the lowest average score (1.67 ± 0.57). 2.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erminal care stress (r=.28, p<.001)) and terminal care attitude (r=.28, p<.001). 3. Terminal care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participant’s sex (t=-2.06, p=.041) and their experience of receiving terminal care education (t=-2.33, p=.021). 4.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Terminal care stress (β=.18, p=.035))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followed by terminal care attitude (β=.17, p=.043)) and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erminal care education (β=.16, p=.031).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11.7%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ICU nurses.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erminal care education is also related to ICU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refore, for ICU nurses to provide high-quality terminal care to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 strategies must be established for managing and alleviating terminal care stres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 cre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end-of-life nursing among nurses because a more positive attitude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Since terminal care performance varies based on nurses’ experience of receiving terminal care education, educational approaches that are tailored to terminal care situations in the ICU should be developed.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7
B. 임종간호수행의 영향요인 10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 수집 방법 19
E. 윤리적 고려 20
F. 자료 분석 방법 20

Ⅳ. 연구결과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B.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수행 정도 24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의 차이 26
D.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수행의 관계 28
E.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30

Ⅴ. 논의 32
A.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수행 정도 32
B.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36
C.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39

Ⅵ.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 52

ABSTRACT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