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인식,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llness 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인식,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H 대학병원에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진단받고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하고 퇴원 후 경과관찰을 위해 순환기 내과 외래에 방문한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7월 29일부터 10월 26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병인식은 Weinman 등(1996)이 개발하고, Moss-Morris 등(2002)이 개정한 질병지각 도구(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이하 IPQ-R)를 최민경, 윤상석과 오지향(2016)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회적 지지는 Enhancing Recovery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ENRICHD) 연구자들(2000)이 개발한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 (ESSI)의 도구를 신나연(2015)이 번역한 도구를, 자가간호는 Dickson 등(2022)이 개발한 Self-Car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ventory (SC-CHDI) 도구를 박진희 등(2023)이 번역, 역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질병인식은 평균 121.58±14.14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24.60±5.12점, 자가간호유지는 평균 71.12±13.71점, 자가간호감시는 평균 73.75±15.58점, 자가간호관리는 평균 77.22±15.1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자가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월평균 소득에 따라 자가간호감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가간호유지와 자가간호관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대상자의 자가간호유지는 질병인식 총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질병인식 하위영역 중 개인적 조절, 치료적 조절, 이해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가간호감시는 질병인식 총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질병인식 하위영역 중 치료적 조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가간호관리는 질병인식 총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질병인식 하부영역 중 개인적 조절, 치료적 조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자가간호유지와 자가간호감시, 자가간호관리 모두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인식과 자가간호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에 관상동맥질환자의 자가간호 향상을 위해서 임상현장에서 질병인식에 관심을 기울여 치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상동맥질환자의 자가간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llness 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gina or myocardial infarction at H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underwent coronary artery intervention, and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cardiology for follow-up after discharg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9 to October 26, 2022 using a questionnaire. For illness perception, we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IPQ-R), which was developed by Weinman et al. (1996), revised by Moss-Morris et al. (2002),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Choi Min-Kyung, Yoon Sang-Seok, and Oh Ji-Hyang (2016). For social support,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 (ESSI), developed by the Enhancing Recovery in Coronary Heart Disease (ENRICHD) researchers (2000) and translated by Shin Na-Yeon (2015). For self-care, we used the Korean translated and back-translated version of the Self-Car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ventory (SC-CHDI), developed by Dickson et al. (2022) and translated by Park Jin-Hee et al.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n the illness perception of subjects was 121.58±14.14 points, the mean score on the social support of subjects was 24.60±5.12 points, the mean score on the self-care maintenance of subjects was 71.12±13.71 points, the mean score on the self-care monitoring of subjects was 73.75±15.58 points, and the mean score on the self-care management of subjects was 77.22±15.19 points. 2.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average monthly inco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maintenance and self-care management. 3. The subjects' self-care mainten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illness perception score and subdomains of illness perception such as personal control, treatment control, and coherence. Self-care monitor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otal illness perception score, but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control subdomain of illness perception. Self-care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illness perception score and subdomains of illness perception such as personal control, treatment control. Meanwhile, self-care maintenance, self-care monitoring, and self-care managemen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illness perception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has been confirmed. Therefore, clinical fields should pay attention to illness perception to provide treatment for improving.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관상동맥질환자의 자가간호 7
B.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인식과 자가간호 10
C. 관상동맥질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수집방법 21
E. 자료분석방법 21
F. 윤리적 고려 22
Ⅳ. 연구 결과 23
A.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 23
B. 대상자의 질병인식과 사회적 지지 25
C. 대상자의 자가간호 26
D.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의 차이 28
E. 대상자의 질병인식,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의 관계 32
Ⅴ. 논의 33
Ⅵ.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0
VII. 참고문헌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