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디어 매체로 인한 간접외상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 이태원 참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direct Trauma and Related Variables by Media: Focusing on the Itaewon Disaster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중심으로, 미디어 매체를 통해 노출된 일반 시민들의 간접외상과 관련 변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전 외상 경험, 부정적 신념, 대처방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으로서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대와 30대 총 6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참사로 인해 일반인의 37%가 부분 또는 완전 PTSD 수준의 간접외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적 대처를 제외한 주요 변인이 간접외상과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이전 외상 경험의 수준에 따른 간접외상 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간접외상 집단에 따른 이전 외상 경험, 부정적 신념, 정서중심적 대처, 회피중심적 대처, 그리고 사회적 지지 역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회귀 모형의 총 설명량은 37.4%로 나타났으며, 대처방식 중 정서중심적 및 회피중심적 대처,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연령에 따른 간접외상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미디어 매체로 인한 간접외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태원 참사와 관련된 간접외상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direct trauma experienced by the general public, who were exposed to media, with a focus on the Itaewon Disaster that occurred on October 29, 2022.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negative belief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bot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indirect trauma of Itaewon Disaster. A total of 600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7% of the general public experienced partial or ful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level indirect trauma due to the Itaewon disaster. Second, all the main variables, except for problem-focused coping, demonstrat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experience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rect trauma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level of previous trauma experience. Also, different groups experiencing indirect traum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their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negative beliefs, emotion-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Four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37.4%. Emotion-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indirect trauma.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rect trauma were observed based on age. This study bring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direct trauma caused by media exposure, an area that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thus far. It provides valuable evidence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dditionally, as the first research investigating indirect trauma related to the Itaewon Disaster,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미디어 매체와 간접외상 5
1.1. 외상(trauma)과 재난(disaster) 5
1.2. 미디어 매체와 간접외상 6
1.3. 국외 연구 9
1.4. 국내 연구 12
1.5. 이태원 참사 15
2. 간접외상 관련 변인 19
2.1. 이전 외상 경험 19
2.2. 부정적 신념 22
2.3. 대처방식 24
2.4. 사회적 지지 27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31
1. 연구 목적 31
2. 연구 문제 및 가설 32
Ⅳ. 연구 방법 33
1. 연구 대상 및 절차 33
2. 측정 도구 33
3. 분석 방법 37
Ⅴ. 연구 결과 38
1.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38
2. 연구 참가자의 심리적 실태 44
3. 이태원 참사 관련 미디어 매체 노출 47
4.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50
5. 주요 변인 간 차이 검증 51
6. 주요 변인들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54
Ⅵ. 논의 56
참고문헌 66
부록 75
ABSTRACT 8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