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ncreatobiliary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의 신체적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 불안,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췌장담도암을 진단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중인 입원환자 130명이었으며, 2022년 6월 14일부터 2023년 1월 28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 조사와 전자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자료수집 되었다. 연구도구로써, 신체적 증상은 Tang, Von Ah와 Fulton (2018)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췌장담도암 환자의 신체적 증상 척도를 이용하였고, 지각된 건강상태는 숫자등급척도(Numeric Rating Scale)를 이용하였다. 불안 및 우울은 Zigmond와 Snaith (1983)가 개발하고 오세만, 민경준과 박두병(1999)이 번안한 한국어판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을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Zimet, G. D., Dahlem, Zimet, S. G.와 Farley(1988)가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2016)의 한국어판 간·췌장담도암 환자 특이적 삶의 질 도구(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Hepatobiliary; FACT-Hep)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의 삶의 질은 총 176점 만점 중 평균 124.79±24.38점이었다. 신체적 증상은 허약, 식욕부진, 피로, 통증 등을 다빈도로 경험하였으며, 지각된 건강상태는 10점 만점 중 평균 4.72±1.98점, 불안과 우울은 각 21점 만점 중 평균 2.97±3.55점과 8.74±5.07점, 사회적 지지는 총 60점 만점 중 평균 48.87±8.6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성별(t=2.73, p=.007), 항암화학요법 차수(F=3.91, p=.023), 동반 질환 유무(t=2.03, p=.045)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삶의 질은 진료비 부담 정도(r=-.30, p=.001), 질병 기간(r=-.21, p=.014), 신체적 증상(r=-.68, p<.001), 불안(r=-.69, p<.001), 우울(r=-.7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건강상태(r=.58, p<.001), 사회적 지지(r=.56,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중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성을 나타낸 변수들을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0.6%(R²=.206)였고, 다음으로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신체적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 불안, 우울과 사회적 지지를 추가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60.4% 증가된 81.0%(R²=.810)였다(F=50.73, p<.001). 최종 회귀모형에서 대상자의 신체적 증상(β=-.35, p<.001), 불안(β=-.30, p<.001), 우울(β=-.19, p=.003), 사회적 지지(β=.18, p<.001), 지각된 건강상태(β=.13, p=.010)의 순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상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이 적을수록, 불안과 우울은 낮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의 관심과 함께,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인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환자의 신체적 증상 및 건강상태 인식의 수준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불안과 우울의 심리적 특성을 사정 및 조기에 중재하며, 환자의 가족과 의료진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지원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와 삶의 질 9
B.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췌장담도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11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9
E. 자료분석방법 20
F. 윤리적 고려 21
Ⅳ. 연구결과 22
A.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22
B. 대상자의 신체적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의 수준 26
C.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28
D. 대상자의 삶의 질과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0
E.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32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