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스크린타임과 정서 및 행동 문제의 상관관계

초록/요약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도한 스크린 미디어 노출, 스마트폰 사용과 행동 및 정서 문제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조기 아동기 인터넷 중독 위험 요인 이해를 위한 아동 코호트(K-CURE)" 연구에서 7-10세 초등학생의 부모 331명을 모집하였다. 초등학생의 인구 통계, 가정의 미디어 소유, 스크린 타임, 그리고 행동/정서 문제는 부모 설문지를 통해 평가되었다. 대상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여부는 한국어판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동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초등학생의 행동/정서 문제는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척도(K-ARS)와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점수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 스크린 과용 집단의 총 K-CBCL 점수는 51.18±9.55로, 대조 집단의 47.28±10.0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14, p=0.05). 각 하위 척도별로, 외현화 점수 (51.65±10.14, 48.33±8.97, t=2.02, p<0.05), 사회 문제 점수 (55.41±6.11, 53.24±5.19, t=2.27, p<0.05), 그리고 규칙 위반 행동 점수 (55.71±6.11, 53.24±5.19, t=2.27, p<0.05)가 스크린 과용 집단에서 대조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스크린 과용 집단은 스마트폰 사용을 주중(3.56±2.08, 1.87±2.02, t=-4.597, p<0.001) 및 주말에도(1.62±0.74, 1.19±0.83, t=-3.14, p=0.003) 대조 집단보다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사용 집단은 K-ARS 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16.38±9.38, 10.59±8.88, t=3.71, p<0.001)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들의 스크린 미디어 과용 패턴이 특히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정서 및 행동 문제의 더 높은 위험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방법 3
A. 연구대상 3
B. 인구 통계학적 특성 3
C. 가정의 미디어 소유 3
D. 스크린타임 3
E. 스마트폰 중독 평가척도 4
F. ADHD 평가척도 및 행동 문제 평가척도 4
G. 통계 분석 5
H. 윤리 5
III. 결과 6
A. 스크린 과용 6
B. 행동 및 정서 문제 6
C. 스마트폰 사용 양상 6
D.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7
E. K-ARS 점수 7
IV. 고찰 8
V. 결론 11
참고문헌 12
영문요약 1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