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MZ 세대의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이직의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MZ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의 척도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상관분석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 및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주요한 변인들의 상관관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하였고, MZ세대 직장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업종, 기업 분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성별, 자녀유무, 직급, 연봉, 근무기간, 직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자녀가 없으면서 직급과 연봉이 낮고, 근무기간이 짧은 구성원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낮았고, 일과 삶의 균형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를 낮추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는 일과 삶의 균형이 낮을 때는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를 유의미하게 낮추지 못했고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 때는 낮은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를 약하게 감소하고 높은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를 강하게 낮추는 조절효과가 나타나, 일과 삶의 균형의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이 결합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MZ세대 직장인을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MZ세대 직장인에서도 성별, 연령, 학력, 직급, 연봉, 근속년수, 직무, 기업별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역할이 확인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가 보다 명확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나타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작용과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했다는 점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은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이직의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는 점을 밝혀 기업의 근무환경이 우선적으로 갖춰져야 동료와 상사의 지지도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 내 종사자의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과 조직문화에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9
3. 연구모형 10

Ⅱ. 이론적 배경 11
1. MZ 세대 11
2. 직무스트레스 13
가. 역할갈등 16
나. 역할모호성 16
다. 역할과부하 17
3. 일과 삶의 균형 19
4. 이직의도 22
5. 사회적 지지 24
가. 상사의 지지 26
나. 동료의 지지 27
6. 변인 간 관계 28
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28
나.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의 관계 31
다.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 32
라.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 33

Ⅲ.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35
2. 연구도구 38
가. 직무스트레스 척도 38
나. 일과 삶의 균형 척도 39
다. 사회적지지 척도 40
라. 이직의도 척도 40
3. 분석방법 41

Ⅳ. 연구 결과 43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2.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47
3. 조절된 매개효과 50
가. 매개효과 검증 51
나. 조절효과 검증 53
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56

Ⅴ. 논의 및 결론 59
1. 요약 및 논의 59
2.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부 록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