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적 자율성과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성 연구이다.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29명, 여자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온라인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성지식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전경숙(2004)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성태도는 호선민(2009)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성적 자율성은 장순복(200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조호윤(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학생의 성지식은 총 100점 만점 중 평균 74.33점, 성태도는 평균평점 3.36점, 성적 자율성은 평균평점 4.27점,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평점 3.50점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성지식은 100점 만점 중 평균 76.81점, 성태도는 평균평점 3.41점, 성적 자율성은 평균평점 4.22점,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평점 3.48점으로 나타났다. 2.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성교육 여부(t=2.10, p=.038)에 따라 생식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종교(t=2.75, p=.008)에 따라 생식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적 자율성과 생식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성적 자율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98, p<.001), 성태도 중 쾌락·유희적 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24, p=.011). 여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성적 자율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64, p<.001). 4.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성적 자율성(β=0.49, p<.001), 성태도 중 쾌락·유희적 성(β=-0.19, p=.002)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8%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성적 자율성(β=0.36, p<.001)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남학생의 경우 쾌락·유희적 성태도와 성적자율성, 여학생은 성적자율성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쾌락·유희적 성태도와 성적 자율성을 고려하여 대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성교육을 구성하여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sexual autonom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Data was collected from 129 male colleage students and 130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Suwon, Gyeonggi-do, using an online Google survey from December 2022 to January 2023. Sexual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and revised by Kyung-Sook Jeon (2004) based on previous studie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s were assess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un-Min Ho (2009)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xual autonomy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oon-Bok Jang (2002),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Ho-Yoon Jo (201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program and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Male students' sexual knowledge averaged 74.33 points out of 100 points and the mean scores of sexual attitudes, sexual autonom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3.36 points, 4.27 points and 3.50 points, respectively. Female students' sexual knowledge averaged 76.81 points out of 100 points and the mean scores of sexual attitudes, sexual autonom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3.41 points, 4.22 points and 3.48 points, respectively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male students based on sex education status (t=2.10, p=.038),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s among female students based on religion (t=2.75, p=.008).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xual autonomy (r=.498, p<.001). Additionally, among male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leasure-oriented performance among sexual attitudes (r=-.224, p=.011). For female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xual autonomy (r=.364, p<.001).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For mal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exual autonomy (β=0.49, p<. 001) and pleasure-oriented sexuality (β=-0.19, p=.00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xu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 For female students, sexual autonomy (β=0.36,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health promoting behavi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5%. Through the above findings, it has been confirmed that pleasure-oriented sexual attitudes and sexual autonomy in male students and sexual autonomy in female students ar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fo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exual education that meets the demends of college students by considering pleasure-oriented sexual attitudes and sexual autonomy can improv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7
B.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9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방법 17
E. 윤리적 고려 17
F. 자료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성지식, 성태도와 성적 자율성 기술통계 22
C. 대상자의 생식건강증진행위 기술통계 24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증진행위 차이 26
E. 대상자의 성지식, 성태도, 성적 자율성과 생식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29
F. 대상자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4
참고문헌 45
Abstract 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