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악 교합 평면 회전에 따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연조직 비대칭 해소 3차원 분석

초록/요약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asymmetry case를 포함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들을 대상으로 양악 수술 후, 관상면에서 보여지는 경조직, 연조직 변화를 3차원 계측을 통해 확인하고, 회전이 동반된 양악 수술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 받은 후, 양악 수술의 치료를 진행한 18세 이상의 성인 한국인 환자 32명(남자 14명,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상악에는 Le Fort I osteotomy를, 하악에는 양측성 시상분할 골전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을 받았다. 추가로, 상악골의 posterior impaction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치료 종료(수술 경과 6개월 이상) 상태의 Conebeam CT 이미지를 촬영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조직 및 연조직의 변화와 수술의 stability를 측정하였다. 이부(Me)의 편위(deviation) 및 양측 구각부(cheilion)의 수직적 높이 차이에 따라, 각각 4group으로 나누고, 통계 분석을 통한 상관 관계를 파악 후, 연조직의 변화에 대한 요인을 찾았다. [ Group 1 (Me deviation > 3mm, 15명, 46.89%) & Group 2 (Me deviation ≤3mm, 17명, 53.11%) / Group 1’ (ΔCh(z) > 1mm, 15명, 46.89%) & Group 2’ (ΔCh(z) ≤1mm, 17명, 53.11%) ] 결과 : 양악 수술 후,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 비율은 3차원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Me deviation 및 lip line canting(양측 Cheilion의 수직적 높이 차이)가 존재하던 group 1&1’에서 비대칭 해소 과정을 거치며 그렇지 않았던 group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group 1&1’의 변화를 통계 분석 결과, Me devitaion은 하악 견치(r=0.676), 하악 제1대구치(r=0.713) 교합 평면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양측 하악 견치의 수평적인 이동은 상악의 시상면 교합 평면 경사도 변화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Lip line canting은 Me deviation 및 양측 상,하악 견치 및 제1대구치 교합 평면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수술 전, 이부의 편측 편위로 비대칭적으로 하방으로 위치해있던 구각부는 양악 수술 과정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였고, 수술 후 유지기간을 거치며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이 때, 유지 기간을 거치며 양측 구각부의 수직적인 높이 차이 자체는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양측 구각부의 높이 차이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양측 구각부의 위치 자체는 수술 직후와 비교 시, 모두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술의 안정성 평가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비대칭 해소를 포함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양악 수술은 비교적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양악 수술 시 고려되는 연조직 심미성과 관련된 Me point와 Cheilion의 변화를 3D Conebeam CT 이미지를 이용하여 밝혔다. 양악 수술 시, 상악 시상면 교합 평면의 시계 방향 회전은 하악 견치의 수평적인 이동 범위를 결정지을 수 있다. 양악 수술 후, 유지기간을 거치며 이부 편위는 교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양측 구각부는 수술을 통해 상방 이동된 위치에서 다시 하방 이동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연구대상 및 방법 3
제1절 Study sample 3
제2절 Methods 4
제3절 Statistical analysis 11
제3장 결과 12
제4장 고찰 24
제5장 결론 28
제6장 참고문헌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