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음압격리병동 내 개인보호구 탈의구역의 면적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rchitectural Area&Space program about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doffing area :Focused on the Urgent Isolation Units(UIUs) for infectious diseases

초록/요약

감염병에 대한 위기의식은 2020년을 기준으로 크게 바뀌었다. 사람들은 개인위생에 신경 썼고 병원은 감염환자 발생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놓았다. 병원은 많은 자금을 들여 음압시설을 구축하였고 급증하는 확진자 추세를 누그러뜨렸다. 양적 공급은 다소 해소되었지만, 사용자의 질적 수준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적다. 특히 의료진은 감염환자를 진료하기 때문에 교차감염의 위험이 매우 크다. PPE를 탈의할 때 교차감염의 위험이 가장 크다는 것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개인의 인식 수준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건축 계획적 맥락에서 교차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13곳의 도면분석을 통해 PPE탈의구역의 실 구성과 실 면적 그리고 의료진 동선을 파악하였다. 실의 기본 구성은 ‘PPE탈의실’과 ‘샤워실’, ‘착의실’이었고, 평균 면적은 각각 11.4㎡, 7.6㎡, 7.8㎡이었다. 동선이 일방향으로 계획되었는지, 그리고 동선 진행 시 막히는 부분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았을 때, 샤워실에서 동선이 막히는 경우가 있었다. 샤워실에 통과 동선이 있다면 샤워가 필요없는 경우나 저위험 감염병 환자를 진료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기법을 활용하였고 개 중 유의미한 값을 가진 실을 도출했다. 샤워실과 착의실은 PPE탈의구역 전체 면적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PPE탈의실은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 않았다. PPE탈의실과 달리 ‘샤워실’과 ‘착의실’은 인력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의료진의 현장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탈의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 사항 등을 조사하고자 직접 현장을 방문하였다. 총 4곳의 시설을 방문하였고 시설마다 담당했던 환자의 중증도가 경증~중증까지 나뉘었다. 근무인력과 배치사항들도 상이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PPE탈의동선은 모두 ‘음압구역→비음압구역’으로 동일했다. 의료진은 근무 시 한 번에 최대 4명까지 함께 들어갔고, 1~2시간마다 수시로 교대하였다. 샤워실과 착의실은 성별에 따라 분리해달라는 요구가 있었으며 샤워실을 이용하지 않고도 지나갈 수 있는 통로에 대한 필요성을 보였다. 주된 연구결과를 요약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PPE탈의구역의 기본적인 실 구성은 ‘PPE탈의실’, ‘샤워실’, ‘착의실’이다. (2) PPE를 탈의한 의료진이 음압 구역으로 재진입하지 않도록 일방향 동선으로 계획한다. (3) 샤워실 내에는 샤워가 필요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통과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4) PPE탈의실에 비해 샤워실과 착의실은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낮다고 간주한다. 일방향 동선이 가장 이상적이나 샤워실과 착의실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5) 샤워실과 착의실의 면적은 PPE탈의구역 면적 증감에 강한 영향을 끼치므로 공간 계획 시 인력수준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다. 연구의 결과는 객관적인 도면자료와 주관적인 현장조사를 융합하여 도출한 것이다. PPE탈의구역 계획 시 본 연구내용을 고려할 수 있다.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이 모든 병원 사례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 PPE탈의실 설계 시 전문가들이 고려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기준 수립에 대한 근거가 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awareness of the crisis regarding infectious diseases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as of 2020. People became more conscious of personal hygiene, and hospitals developed response strategies for managing infected patients. Hospitals invested heavily in constructing negative-pressure facilities, effectively mitigating the rising trend of confirmed cases. While the quantitative supply improved to some extent,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qualitative aspect of user experience. Particularly, healthcare workers(HCWs) face significant risks of ‘Cross-Infection’ due to their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patients. This study was initia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highest risk of cross-infection occurs during the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individual awareness. The objective was to explore measures to prevent cross-infection from an architectural and planning context. Through the analysis of 13-floor plans, the actual configurations and areas of PPE doffing areas, as well as the flow of HCWs, were identified. The basic components of the area included the "PPE doffing room,"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with average areas of 11.4㎡, 7.6㎡, and 7.8㎡, respectively. By examining whether the flow was planned unidirectionally and if there were any obstructions along the rout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ases where the flow was blocked in the shower room. If there is a ‘Passageway’ through the shower room, i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in cases where showering is unnecessary or when treating low-risk infectious disease patients. Statist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hips,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rooms. The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area of the ‘PPE doffing zone’, while the ‘PPE doffing room’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This difference may be attributed to the sensitivity of the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to staffing conditions.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on-site experiences of HCWs and investigate inconveniences during the doffing process, direct visits to four facilities were conducted. The severity of patients varied from mild to severe across the facilities, and staffing and deployment practices differed. However, the flow of PPE doffing was consistent in all facilities, following the pattern of "negative-pressure area → non-negative-pressure area." HCWs entered together in groups of up to four individuals and rotated shifts every 1-2 hours. There were requests to separate the shower room by gender and a demonstrated need for a pathway that allows passage without using the shower room. In summary,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PE doffing area consists of the PPE doffing room,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2) Plan a unidirectional flow to prevent HCWs from re-entering the negative-pressure area after removing PPE. (3) Within the shower room, securing a separate pathway for cases where showering is unnecessary is recommended. (4) Compared to the PPE doffing room, the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are relatively less contaminated. While a unidirectional flow is ideal, there can be potential intersections between the shower and changing rooms. (5) The areas of the shower room and changing room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PE doffing area. When planning the space program, it is advisable to consider the staffing condit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objective floor plan data with subjective on-site surveys. They can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of PPE doffing areas. Although the paper does not reflect all hospital cases, it serves as a reference for future PPE doffing room designs, providing experts with valuable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a basis for setting standard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흐름 및 방법 2
1.3. 연구의 목적 4
제2장 이론적 고찰 5
2.1. 감염병시설 5
2.2. 긴급치료병상 내 공간구성 9
2.3. PPE탈의실의 개요 13
2.4. 문헌고찰 15
제3장 PPE탈의구역에 대한 도면분석 17
3.1. 분석개요 17
3.2. 도면분석 19
3.3. PPE탈의구역 각 실별 면적비교 37
3.4. PPE탈의구역 내 실 유형에 따른 상관분석 43
제4장 PPE탈의구역에 대한 현장조사 47
4.1. 조사개요 및 인터뷰 방법 47
4.2. 조사내용 47
제5장 개인보호구 탈의구역 공간 계획 가이드라인 53
제6장 결론 56
참 고 문 헌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