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환자실 신입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환자실 신입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은 Jeffries의 NLN/JST 이론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통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전달 방법으로 하여 중환자실 신입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역량, 팀워크,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일 대학병원의 성인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12개월 이하의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4주(240분) 동안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병원에서 제공하는 환자안전교육을 받은 대조군 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시차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역량, 팀워크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사후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Z=-1.05, p=.295), 추후에도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Z=-1.52, p=.130)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제 2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10.81, p<.001). 2-1 부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12.31, p<.001). 2-2 부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7.44, p=.002). 2-3 부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F=0.51, p=.603). 제 3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팀워크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F=1.52, p=.231). 제 4가설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차이가 있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3.33, p=.041).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은 중환자실 신입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료기관에서 중환자실 신입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에 효과적인 시뮬레이션기반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데 있어 본 교육프로그램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s. The program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Jeffries’ NLN/JST theory with the aim of improv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ompetency, teamwork, and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simulation-based, 4-week (240 minute) patient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assess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research desig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hospital train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ompetency self-evaluation (PSCSE), K-self assessment of teamwork,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 (KSE-12),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experience (SS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F=10.81, p<.001), patient safety knowledge (F=12.31, p<.001), patient safety skills (F=7.42, p=.002),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F=3.33, p=.041)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Z=-1.05, p=.295; Z=-1.52, p=.130) and teamwork (F=1.52, p=.231).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developed in this study is thu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patient safety knowledge, patient safety skill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of new graduate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Medical institutions can use this education program to expand the scope of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management training education for newgraduate nurses and to implement systematic patient safety management training.

more

목차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가설 3
D.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중환자실 내 환자안전관리활동 7
B.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10
C. 간호사 대상의 시뮬레이션기반 교육프로그램 13

Ⅲ. 개념적 기틀 17
A. Jeffries의 시뮬레이션 이론 17
B.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23

Ⅳ. 연구방법 27
A.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27
B.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효과 검증 35

Ⅴ. 연구결과 47
A.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47
B.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효과 검증 61

Ⅵ. 논의 84
A.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84
B. 시뮬레이션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효과 검증 88
C. 연구의 제한점 95
D. 연구의 의의 95

Ⅶ. 결론 및 제언 97
A. 결론 97
B. 제언 98

참고문헌 1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