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Trajectories of Work Adjustment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Newly registered nurs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신규직원의 조직적응 개념모델을 기반으로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을 설명하고 집단기반 궤적분석으로 직업적응의 변화를 유형화하여, 각 변화유형 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경기도에 소재한 A 상급종합병원의 최근 2년간 입사한 신규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이며 직업적응, 임상수행능력, 긍정심리자본, 프리셉터 관계, 사회적 지지, 역할갈등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입사 후 2개월, 7개월 12개월에 반복측정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245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SAS 9.4와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변화유형은 세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첫 번째 그룹은 ‘전영역 고수준 조기적응형(이하 조기적응형)’으로 입사 초기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직업적응 총점 및 전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직업적응을 보이는 집단으로 전체 인원의 16.1%를 차지하였다. 두 번째 그룹은 ‘대인관계 주도의 표준적응형(이하 표준적응형)’으로 조사시점 모두 직업적응의 총점은 중간 수준이었고,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으로 전체 인원의 60.6%를 차지하였다. 세 번째 그룹은 ‘실무능력 후기성장의 적응지연형(이하 적응지연형)’으로 조사시점 모두 직업적응의 총점은 낮은 수준이었으나, 하위영역 중 직무수행능력 영역의 점수가 후기로 갈수록 큰 폭으로 향상되는 양상을 보인 집단이며 전체 인원의 23.3%를 차지하였다. 2. 신규간호사 직업적응 변화유형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응지연형을 기준으로 한 조기적응형의 영향요인은 희망과 정서적 지지로 분석되었다. 2) 적응지연형을 기준으로 한 표준적응형의 영향요인은 낙관주의로 분석되었다. 3) 표준적응형을 기준으로 한 조기적응형의 영향요인은 희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변화유형은 조기적응형, 표준적응형, 적응지연형의 세 가지 그룹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직업적응 변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희망, 낙관주의, 정서적 지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직업적응 변화유형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먼저, 직업적응의 수준이 신규간호사 시기 초반에 결정되어 유지되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 직업적응의 지연을 막기 위한 초기시점의 효과적이고 집중적인 방안과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직업적응 변화유형에 따라, 조기적응형과 표준적응형은 대상자들이 희망, 낙관주의, 정서적 지지의 수준을 유지하고 직업적응의 수준을 유지해 나가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적응지연형은 실무능력 향상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과 동료지지 프로그램과 같은 부서와 조직 차원의 공감, 긍정적 격려, 심리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more

초록/요약

The transition of newly registered nurses is challenging. Their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during this period are important for professional growth.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odel of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new employees, the adjustment of new nurses differs between individuals or groups according to predisposing factors.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work adjustment trajectories among newly registered nurse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between each trajectory group. The sample included 245 new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survey measured work adjustment, clinical competency,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exchange, social support, and role conflict at the baseline survey (2 months), and work adaptation was measured at two points (7 months and 12 months).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work adjustment trajector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4 and IBM SPSS Statistic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ree work adjustment trajectory groups were identified among the participants, and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characteristics. Group 1 was an early adjustment group with a high level in all work adjustment fa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arly adjustment group), maintaining a high adjustment leve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ccounting for 16.1% (38 people) of all subjects. This group displayed a high work adjustment level in all subscales from the beginning of employment. Group 2 was a standard adjustment group l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standard adjustment group), maintaining a moderate level of adjustment from beginning to end, accounting for 60.6% (152 people). They always maintained a higher level of adjust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other subscales. As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belong to this group, it could be mentioned as a standard group of work adjustment. Group 3 was a delayed adjustment group of late growth in job performance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delayed adjustment group), which demonstrated a lower level of adjustment compared to other group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ccounting for 23.3% (55 people). They maintained a low level of work adjustment from early to mid-term, eventually rising later. Similarly, their job performance area later grew. 2.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trajectories of work adjustment are as follows. 1) Hope and emotional suppor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arly adjustment group compared to the delayed adjustment group. 2) Optimism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tandard adjustment group compared to the delayed adjustment group. 3) Hop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arly adjustment group compared to the standard adjustment group. This study identified three work adjustment trajectory groups among newly registered nurses: early adjustment, standard adjustment, and delayed adjustment. The influencing factors of work adjustment trajectories were hope, optimism, and emotional support.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multidimension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work adjustment among new nur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jectory groups. First, as the level of work adjustment in all groups was determined and maintained at the beginning, an effective strategy to increase the job adjustment of new nurses should be concentrated in the early stage. In addition, a differentiated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jectory groups was required. The Early adjustment and standard adjustment groups should continuously monitor their level of work adjustment while checking their hopes, optimism, and emotional support. In particular, the delayed adjustment group required the most attention.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accelerate their job performance. Additionally, strengthening peer support, which can increase hope, optimism, and emotional support, will be effective.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9
B. 신규간호사 직업적응의 영향요인 11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9
A.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19
B.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22
Ⅳ. 연구방법 25
A. 연구설계 25
B. 연구대상 26
C. 연구도구 28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2
E. 자료분석 33
F. 윤리적 고려 35
Ⅴ. 연구결과 3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B. 연구대상자의 직업적응 변화유형의 모형 선택 38
C. 연구대상자의 연구변수에 따른 직업적응 변화유형의 차이 61
D. 연구대상자의 직업적응 변화유형별 영향요인 67
Ⅵ. 논의 69
A.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변화유형 특성 69
B. 신규간호사의 직업적응 변화유형 영향요인 74
C. 연구의 의의 81
D. 연구의 제한점 83
Ⅶ. 결론 및 제언 84
A. 결론 84
B. 제언 86
참고문헌 87
부 록 107
ABSTRACT 11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