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과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효율적인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경기도 소재 A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7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20일부터 9월 28일까지 시행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은 Montagnini, Smith 와 Balistrieri (2012)가 개발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도구를 이효진(2015)이 번역한 국문 도구,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 등 (2007)의 Psh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를 이동섭과 최용득(2010)이 번역한 국문 도구,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은 간호 중재 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의 영적간호(Spiritual care Intervention)와 생애말환자 간호(Dying Care Intervention)를 이선민이 번역한 국문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LSD, Pear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은 총점 140점 중 평균 99.04±14.24점(평점평균 3.54±0.51점)이고, 이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행위영역(3.61±0.72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지식영역(3.59±0.60점), 태도영역(3.25±0.62점) 순이었다. 긍정심리자본은 평균 95.90±12.58점(평점평균 4.00±0.52점)이고, 하위영역 중 희망(4.19±0.64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사람 다음으로 낙관주의(4.19±0.63점), 회복탄력성(3.94±0.53점), 자기효능감(2.83±0.78점) 순이었다.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은 평균 115.14±19.47점(평균 평점 3.71±0.63점)이고, 하위영역 중 생물학적 영역(3.89±0.63점)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심리적 영역(3.73±0.69점), 사회적 영역(3.62±0.75점), 영적영역(3.40±0.89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은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대상자가 응급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대상자보다 생애말환자 간호 수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3.068, p=.018). 임상경력이 5년~10년 차 보다 1년~5년 차, 10년 차 초과인 대상자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이 높았고(F=7.720, p=.001), 근무 시 참고할 수 있는 생애말환자 간호 지침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t=3.185, p=.002)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과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는 생애말환자 간호역량(r=0.586, p<.001)과 긍정심리자본(r=0.547,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생애말환자 간호역량(β=.42, p<.001), 긍정심리자본(β=.31, p<.001)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3%이었다(F=26.67, P<.001, Adjusted R2=.430). 이상의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이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의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an effica cious care of intensive care nurse about end-of-life patient as the descriptiv e correlation research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nursing compet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The date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o n 171 intensive care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fr om september 20 to 28, 2022. The nursing c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 of intensive care nurse was measured with Korean instrument which Lee (2015) translated the instr ument to gauge nursing competence for end-of-life patient by Montagnini, Smith and Balistrieri (2012) into. To measur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 tal Korean instrument which Lee and Choi (2010) translated Psychological C apital Questionnaire by Luthans et.al. (2007) into was used. The nursing per 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was measured with Korean instrument whic h Lee Sun Min translated Spiritual care Intervention in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and Dying Care Intervention. To analyze the aggrega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 y, percent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AN OVA, Scheffé, LS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 le regression were utilized with SPSS 23.0 1. The mean of nursing c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 of responden ts was 99.04±14.24 scores (rating average 3.54±0.51 scores ) of total sum 14 0 scores. Respectively by sub-areas, the mean of action area was the highe st (3.61±0.72 scores), followed by knowledge area (3.59±0.60 scores) and atti tude area (3.25±0.62 scores). The mea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95.90±12.58 scores (rating average 4.00±0.52 scores). Respectively by sub-ar eas, the mean of hope was the highest(4.19±0.64 scores), followed by optimi sm(4.19±0.63 scores), resilience (3.94±0.53 scores), and self-efficacy(2.83±0.78 scores). The mean of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was 115.1 4±19.47 scores(rating average 3.71±0.63 scores). Respectively by areas, the mean of ecological area was the highest(3.89±0.63 scores), followed by psyc hological area(3.73±0.69 scores), social area(3.62±0.75 scores), and spiritual ar ea(3.40±0.89 scores). 2. To examine difference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ursing p erformance of end-of-life, the nurses of internal medicine ICU showed highe r nursing performance scores than emergency ICU.(F=3.068, p=.018). The nu rses with 1 to 5 years and over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showed hig her nursing performance scores than 5 to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 =7.720, p=.001), The nurses with guideline of end-of-life nursing to refer on duty significantly showed higher nursing performance scores than without g uideline statistically(t=3.185, p=.002) 3. To demonstrate association among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 e patient, nursing c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 and positive psychologic al capital, 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positively and significant ly correlated with nursing c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r=0.586, p<.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r=0.547, p<.001). 4. To identify which factor to affect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 e patient in intensive care nurses, nursing c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 (β=.42, p<.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β=.31, p<.001) were signifi cant influencers. The explained variance of the regression model was 43% . (F=26.67, P<.001, Adjusted R 2=.430). As mentioned above, conclusively, the study determined that nursing c ompetence of end-of-life pati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uld be i mportant factors to affect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in inte nsive care nurses, and could propose the underlying knowledge to design an d plan the intervention to foster nursing performance of end-of-life patient i n intensive care nurse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 7
B. 중환자실 간호사의 생애말환자 간호수행과 관련 요인 9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8
E. 자료분석방법 19
F. 윤리적 고려 19

Ⅳ. 연구결과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대상자의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생애말환자 간호수행 22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애말환자 간호수행 24
D. 생애말환자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의 관계 26
E. 생애말환자 간호수행에 대한 영향요인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0
참고문헌 4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