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시건축통합계획 실현을 위한 입체적 도시설계 기법 연구 : <과천과천>, <안산신길2>, <수원당수2> 시범지구 분석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기존 신도시 계획의 문제점을 인식하며 도시설계의 역할과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과천과천>, <안산신길2>, <수원당수2> 이하 3개 지구를 중심으로 도시·건축·시설물을 아우르며 입체적 계획을 수립하는 ‘도시건축통합계획’이 적용되었다. 입체적 마스터플랜 수립 이후 이를 기반으로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을 동시에 수립하여 일관된 계획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이에 따른 입체적 도시구상 마스터플랜의 공모 절차가 신설되고 기존 체계와 다른 접근 방식으로 도입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현 시점에서 미국의 Form-Based Codes, 영국의 Design Code, 캐나다의 Urban Design Guidelines 등 형태기반코드를 중심으로 작성된 도시 가이드라인이 긍정적인 도시계획을 이끌어냈기에, 본 논문에서는 국외 선례를 참고하여 계획 요소와 관련 내용을 이해하고 국내 3개 시범지구 계획 내용과 비교 분석하여 전개 방향과 보완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계획 요소는 국외 참고 사례로 선정한 <VMC>, <Aylesbury>, <Bowden> 지구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마스터플랜, 블록·필지, 오픈스페이스, 가로·주차, 건축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침·가이드북 구성에 따라 운영·관리 기준, 부록을 함께 검토하여 총 6개 지구의 계획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외 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국내 3개 시범지구 당선안의 계획 내용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 맥락을 고려하여 일관적인 마스터플랜을 작성하고 세부 요소에 대한 기술보다는 전체 도시 경관 형성에 보다 집중하는 특징을 가진다. 둘째, ‘가로중심 공유도시’ 조성을 목표로 공공주택지구에 시범 사업이 운영되며 주거 블록 및 저층부 특화 계획, 지상도로와 보행통로, 지하주차 등에 대한 상세 계획이 국외 사례보다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셋째, 마스터플랜 상에서 건축 형태에 대한 세부 기준을 제시하기 보다는 역할과 개념을 제시하는 정도로 서술된다. 넷째, 제로에너지 시티와 생태친화 도시를 위해 순환 체계 구축, 관련 공간 계획, 사업 운영 프로세스 마련 등의 복합적인 계획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스터플랜 계획안의 논리적인 구조화를 위해 운영·관리 방안은 구체적으로 작성되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실무진들을 도울 체계(부록)가 마련되지 않은 점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본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참고한 VMC 지구 사례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기본 계획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못했고, 국내 계획안은 당선작만을 한정하여 내용을 살펴본 점, 마스터플랜 수립에 참여한 실무자 인터뷰나 추가 자료 검토 없이 선행 연구로부터 도출된 문제 인식으로 보완 방향을 제시한 점 등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하지만 계획 요소 분석과 가이드라인 실행의 두 측면에서 계획안을 비교 분석한 점, 국외 선례와 국내 당선작을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특징을 제시한 점에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각에서의 전개가 이루어졌기에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선행 연구 검토 3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7
2. 도시건축통합계획의 개념과 방향 9
2.1 입체도시계획제도 9
2.2 개념 정의와 등장 배경 11
3. 입체적 도시설계의 수단과 방법 13
3.1 국외 입체적 도시설계 기법에 대한 이해 13
3.2 국내 입체적 도시설계 기법에 대한 이해 19
4. 위계별, 요소별 도시설계 기준 및 항목 23
4.1 사례 선정 기준 23
4.2 계획 내용에 따른 분류 26
4.3 지침·가이드북 구성에 따른 분류 59
4.4 분석내용 종합 61
5. 시범지구의 마스터플랜과 지구단위계획 비교 분석 63
5.1 3개 시범지구 계획 개요 63
5.2 계획 요소에 따른 내용 분석 64
5.3 실행기법에 따른 내용 분석 87
5.4 계획내용 및 실행기법 평가 88
6. 결론 91
7. 참고문헌 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