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과 업무성과 : 일-가정균형과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 모델

Work-Nonwork Boundary Permeability and Job Performance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Work-Family Balance and Mindfulnes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일터와 가정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중국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일-가정균형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그리고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일-가정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현재 근무를 하고 있는 중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6일부터 9월 9일까지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415건이었고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401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는 SPSS 24.0과 AMOS 24.0, SPSS PROCESS macro 3.2의 Model 7을 이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업무의 비업무 경계 침투성(work into nonwork permeability)은 과업성과와 맥락성과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업무의 비업무 경계 침투성이 높아질수록 일-가정균형은 낮아지고, 일-가정균형이 낮아질수록 과업성과 및 맥락성과가 감소하여서 일-가정균형이 업무의 비업무 경계 침투성과 과업성과 및 맥락성과 간의 관계를 억제효과로 매개하였다. 둘째, 비업무의 업무 경계 침투성(nonwork into work permeability)은 과업성과와 맥락성과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비업무의 업무경계 침투성이 높아질수록 일-가정균형은 낮아졌고, 일-가정균형이 낮아질수록 과업성과와 맥락성과는 감소하여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마음챙김은 업무의 비업무 경계 침투성과 일-가정균형 간의 부(-)적 관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였고, 비업무의 업무 경계 침투성과 일-가정균형간의 부(-)적 관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넷째, 업무와 비업무의 경계관리 유형에 따른 일-가정균형의 평균과 업무성과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업무-비업무 분절형’이 ‘업무 중심형’, ‘업무-비업무 통합형’, 비업무 중심형‘ 보다 일-가정균형의 평균이 높고, 업무성과의 평균도 높았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업무와 비업무의 물리적 경계와 시간적 경계가 분명해야 한다. 불분명해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가능하면 심리적 경계 강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직장인 개인들은 심리적으로 ‘업무-비업무 분절형’을 사용할 수 있어야 일-가정균형 및 업무성과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양한 근무형태를 지향하는 현대의 모든 기업이 적절한 업무와 비업무의 경계 관리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적용하는 데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함으로써 직장인의 일-가정균형과 업무성과 향상에 기여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nonwork boundary permeability on job performance for Chinese employees whose work-family boundaries are fading. In addition, we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and mindfuln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for Chinese employees currently working in China was distributed over two weeks since August 26 to September 9, 2022. Totally 41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401 were valid excluding the omitted or artificial copies. For data analysis, SPSS 24.0, AMOS 24.0, and SPSS PROCESS macro 3.2 Model 7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 into nonwork permeability did not direct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However, the higher work into nonwork permeability rose, the lower work-family balance became. The lower work-family balance became, the less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reduced. Work-family bal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work into nonwork permeability,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as a suppression effect. Second, nonwork into work permeability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higher nonwork into work permeability rose, the lower work-family balance became. The lower work-family balance became, the less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reduced. Work-family balance partial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nonwork into work permeability,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ird, Mindfulness moderat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work into nonwork permeability and work-family balance, an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nonwork into work permeability and work-family balance. Fourth, by comparing work-family balance average and job performance average based on the types of boundary management of work and nonwork, the result revealed that both work-family balance average and job performance of "work-nonwork segmented" were higher than "work-centered", "work-nonwork integrated", and "nonwork-center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physical and temporal boundaries between work and nonwork should be clear. In a case if it becomes unclear, companies should come up with measures to elevate their psychological vigilance whenever possible, and workers should be able to use "work-nonwork segmented" psychologically to prevent the reduction of work-family balance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d to suggest the companies both in and outside China consider and adopt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of work and nonwork boundary for their own employees to improve their work-family balance and job performance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문제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 7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8
제1절 업무성과 8
1. 업무성과의 개념 8
2. 업무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10
제2절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 13
1. 경계이론 13
2.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의 개념 15
3.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에 관한 선행연구 20
제3절 일-가정균형 23
1. 일-가정균형의 개념 23
2. 일-가정균형에 관한 선행연구 24
3. 중국의 일-가정균형 관련 정책 27
제4절 마음챙김 29
1. 마음챙김의 개념 29
2. 마음챙김에 관한 선행연구 30
제5절 가설설정 32
1. 업무의 비업무 경계 침투성, 일-가정균형, 업무성과의 관계 32
2. 비업무의 업무 경계 침투성, 일-가정균형, 업무성과의 관계 34
3.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35

제3장 연구방법 38
제1절 연구모형 38
제2절 연구대상 39
제3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9
1. 업무성과 39
2. 업무-비업무 경계 침투성 40
3. 일-가정균형 40
4. 마음챙김 41
5. 통제변수 41
제4절 자료수집 42
제5절 자료분석 42

제4장 연구결과 44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44
제2절 측정모형의 분석 46
1.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46
2. 주요 요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51
3. 확인적 요인분석 52
제3절 가설검증 55
1. 일-가정균형의 매개효과 56
2. 마음챙김의 조절효과와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64
3. 가설의 채택 여부 75
4. 추가분석 77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84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84
제2절 시사점 96
1. 이론적 시사점 96
2. 실무적 시사점 98
3.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3
부록 123
Abstract 13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