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북한이탈주민의 직무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직장 내 과업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ompet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Task Conflict in the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이론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직무자원인 직무능력(업무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과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 성), 사회적지지(동료지지, 상사지지), 직무요구인 직장 내 과업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양적 연구로 가설을 검증하고, 가설검증의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과 논의를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연구의 대상은 하나원에서 기본적응교육을 수료 후 6개월 이상, 20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 중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기간윤리생명위원회의 승인일 이후인 2022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307건 중 응답에 결측치가 있는 8건을 제외하고 299건의 자료를 SPSS 23.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능력 중 업무기술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서도 양적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였 다. 하지만 조직이해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조직이해능력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질적연구에서는 조직규율과 문 화를 모르면 직장생활이 불편하다는 의견, 직장에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할 수 있어서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 남한의 기업문화를 거부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할 때 조직이해능력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 등 양적연구와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다음 문제해결능력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연구에서도 북한이탈주민의 직설적인 성향과 타협하지 않는 성향으로 인해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발능력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적연구에서는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했을 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과 업무와 관련이 없는 자격증을 취득할 경우에도 자신감으로 인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반대로 업무와 관련이 없는 자기개발은 시간낭비로 업무에 지장을 준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함께 확인되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서도 희망이 있으면 직무에 더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또한 직무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빠르게 회복되면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양적연구를 뒷받침하였다. 셋째, 사회적지지에서 상사지지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동료지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동료지지의 질적연구 결과는 대체로 업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 답자들은 직장 내 실장, 팀장, 대리 등 경력에 따른 직급을 동료로 이해하지 않고 상사로 이해하고 있어서 동료지지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상사지지는 동료지지보다 더 중요하다고 언급해 상사지지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를 뒷받침하였다. 넷째, 직장 내 과업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서도 직장 내 과업갈등은 조직 전체 분위기를 망치고 만족감을 낮추는 것으로 양적연구를 뒷받침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한국사회 정착을 위하여 직장 적응력 강화를 위한 업무관련 기술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은 물론 직장 상사와 동료와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조직이해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직무만족을 위하여 가장 기초적인 정보화교육뿐만 아니라 직무와 관련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직업훈련교육의 필요성과 취업 연계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두 연구 결과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양적연구에 필요한 측정도구 부족 및 미흡에 따른 것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북한 이탈주민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Based on the theory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resour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demands on job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Job resource includes job performance (work skills, organizational comprehension,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nagers, and job demands are the conflicts of tasks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was first tes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in-depth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f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nd the target of the study was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he age of 20 who have been in the work for more than 6 months after completing basic education program at Hanaw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July 30, 2022, after the approval date of the Independent Ethics Committee(IBC), and out of 307 data collected, 29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except for 8 cases in which the response was mi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among job perfomance, work skil and communication skill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Qualitative research also support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However, organizational comprehensio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development skill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r a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rst of all, organizational comprehen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qualitative research show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from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the opinion that not knowing organizational discipline and culture makes work life uncomfortable, the opinion that it is helpful to perform well because it allows you to understand you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t work, and the opinion that organizational comprehension posi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when you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South Korean corporate culture instead of rejecting it. Followings were that problem-solving skill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also confirm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traightforward and uncompromising tendencie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last self-development skill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in qualitative research, there was both opinions that obtaining work-related certifications or self-development unrelated to work both increases self-confidence and job satisfaction, but self-development that is not related to work is a waste of time, which hinders work giving negative affects.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Qualitative research have also indentified that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if they have hope, and self-efficac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job performance. And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n stress recovers quickly which supporte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in social support, superior’s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while colleagues’ support had a negative (-) effect. However, qualitative research of colleagues’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have shown that they are generally helpful in their work. most respondents did not understand career-based positions such as manager, team leader, and associate assistant in the workplace as colleagues, but considered as superior, so we could not indentified their influence as colleagues’ support. It also stated that superior’s support is more important than colleagues’ support, and this also supported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positive impact of superior’s support. Lastly, task conflicts in the workplace have been shown to have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Qualitative research have also supported quantitative research that task conflicts in the workplace spoil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organization and reduc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 into Korean society stably,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work-related technic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o strengthen their adaptability to the workplace, as well as organizational comprehens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empathy with managers and colleagues. Secondly, for the job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education but also to vocational training that can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the job, and continuous management after employment. Third, when compar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this study, we could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research. This is due to the lack of measurement tool which is necessary for quantitative research on North Korean defectors, so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uctured measurement tools that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North Korean defector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6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직업훈련 7
1. 북한이탈주민의 특성 7
2. 북한이탈주민의 직업훈련에 관한 선행연구 9
제2절 직무만족 12
1. 직무만족의 개념 12
2.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13
3. 북한이탈주민의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15
제3절 직무능력 16
1. 직무능력의 개념 16
2. 직무능력에 관한 선행연구 20
3. 북한이탈주민의 직무능력에 관한 선행연구 21
제4절 긍정심리자본 23
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23
2.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25
3. 북한이탈주민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26
제5절 사회적지지 28
1. 사회적지지의 개념 28
2. 사회적지지에 관한 선행연구 30
3.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지지에 관한 선행연구 31
제6절 직장 내 과업갈등 32
1. 직장 내 과업갈등의 개념 32
2. 직장 내 과업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33
3.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내 과업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36
제7절 가설 설정 37
1. 직무요구-자원이론 37
2. 직무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38
3.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40
4.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41
5. 직장 내 과업갈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42
6. 가설 요약 43
제3장 연구방법 44
제1절 연구설계 44
1. 연구설계 44
2. 연구절차 46
3. 연구모형 47
제2절 설문조사를 이용한 양적 연구 48
1. 연구대상 48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8
3. 설문지 구성 51
4. 자료수집 52
5. 자료분석 52
제3절 면담을 이용한 질적 연구 53
1. 연구대상 53
2. 조사도구 53
3. 자료수집 54
4. 자료분석 55
제4장 연구 결과 56
제1절 양적 연구 결과 56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6
2. 타당도와 신뢰도 59
3. 기술통계와 변수 간의 상관관계 65
4. 가설 검증 69
5. 가설 채택 여부 73
6. 양적 연구 결과 요약 74
제2절 질적 연구 결과 75
1.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75
2. 질적 연구 분석 범주 76
3. 질적 자료 분석 결과 77
4. 북한이탈주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의 문제점 100
5. 질적 연구 결과 요약 102
제5장 논의 및 결론 104
제1절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결과의 통합 104
제2절 결론 111
1. 연구의 시사점 111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116
참고문헌 118
부록1 137
부록2 145
Abstract 1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