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반인의 화상상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on the Publics'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Use: Focused on the UTAUT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and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to 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by the publics. For th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dvantages and barriers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the usefulness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the intention to use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and the use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were verified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Study 2),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psychotherapy experience(Study 1).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September 23, 2022 to 350 Korean adults. For data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and face-to-face psychotherap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psychotherapy experience. In addition, the UTAUT model to explain participant’s use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was supported. It was showed that the perceived advantages and barriers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video conference psychotherapy and the use of videoconference psychotherapy through the usefulness of video conference psychotherap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화상상담과 대면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일반인의 화상상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지각된 화상상담 장점과 장애물, 화상상담 유용성, 화상상담 사용의도, 그리고 화상상담 사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연구 2), 성별, 연령, 상담 경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연구 1). 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일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2022년 9월 23일부터 7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2.0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화상상담과 대면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성별과 연령, 그리고 상담경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지각된 화상상담 장점 및 장애물은 화상상담 유용성을 통해 화상상담 사용의도와 화상상담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상담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 론 1
II. 이론적 배경 3
1. 심리상담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과 태도 3
(1) 미국인과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 태도 비교 3
(2) 체면 손상, 자기 은폐, 낙인 3
2. 서비스 갭 관련 연구 5
(1)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전문적 도움 추구 5
(2) 온라인상담에 대한 인식과 경험 6
(3) 온라인 및 화상상담의 장점과 장애물, 유용성, 사용의도 7
(4)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의도, 행동 간의 관계 8
3. 상담 의사결정 과정 관련 연구 9
(1)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 예측 관련 모델 및 이론 9
(2) 통합기술수용모형 10
III. 연구목적 및 가설 16
1. 연구 1 가설 16
2. 연구 2 가설 및 연구모형 16
IV.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18
2. 측정 도구 21
(1) 화상상담과 대면상담에 대한 인식 차이 질문지 21
a. 화상상담과 대면상담 유용성 비교 21
b. 대면상담 사용의도 21
c. 화상상담과 대면상담 지인 추천 가능성 22
(2) 지각된 화상상담 장점 22
(3) 지각된 화상상담 장애물 23
(4) 화상상담 유용성 23
(5) 화상상담 사용의도 24
(6) 화상상담 사용 24
3. 자료 분석 25
V. 연구 결과 27
1. 화상상담과 대면상담에 대한 인식 차이 기술통계분석 27
2.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 분석 28
(1)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 독립표본t-검정 28
(2)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 일원배치분산분석 28
(3) 상담 경험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 독립표본t-검정 30
3. 주요변인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1
4. 측정모형 분석 33
5. 구조모형 적합도 비교 34
6. 연구모형 분석 34
7. 매개효과분석 35
VI. 논의 37
■ 참고문헌 41
■ [부록] 설문지 50
■ Abstract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