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생의 초기 아동의 보호와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의 책무성이 점차 커지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영유아 발달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들의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즉,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적 책무성이 조직효과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보육교사의 교육적 책무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이 증진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안산시, 안성시, 평택시, 화성시의 국공립, 직장, 법인, 민간, 가정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배경 변인, 교육적 책무성, 조직효과성에 대해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연령은 45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직위는 담임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최종학력의 경우 전문대졸이 가장 많았고, 전공의 경우 유아교육학이 가장 많으며 근무 경력의 경우 10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근무하는 어린이집 유형은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장 많았고, 근무하는 기관의 규모의 경우 40인~90인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담당 연령의 경우 만1세가 가장 많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적 책무성은 직위, 근무 경력, 어린이집 유형 및 규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로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 경력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의 유형이 직장어린이집이거나 100인이상의 규모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할수록 교육적 책무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조직효과성은 연령, 직위, 근무 경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다른 차이로 30~34세의 연령일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 경력이 4~6년이하일 경우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체와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보육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있으며,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임을 알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 정의 6
1) 교육적 책무성 6
2) 조직효과성 7
Ⅱ. 이론적 배경 8
1. 교육적 책무성 8
가. 교육적 책무성 개념 및 특성 8
나. 교육적 책무성의 구성요인 10
다. 보육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13
2. 조직효과성 15
가. 조직효과성의 개념 및 특성 15
나. 조직효과성 구성요인 17
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특성 및 효과성 19
3.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 21
Ⅲ. 연구 방법 24
1. 연구 대상 24
2. 연구 도구 27
가. 교육적 책무성 27
나. 조직효과성 28
3. 연구 절차 29
가. 예비조사 29
나. 본 조사 30
4. 자료 분석 30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1
1. 보육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31
가. 전반적인 교육적 책무성 31
나. 하위영역별 교육적 책무성 32
다.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적 책무성 35
2. 보육교사의 조직효과성 43
가. 전반적인 조직효과성 43
나. 하위영역별 조직효과성 43
다. 배경 변인에 따른 조직효과성 47
3.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52
Ⅴ. 논의 및 결론 56
1. 논의 56
가. 교육적 책무성 56
나. 조직효과성 59
다. 교육적 책무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61
2. 결론 63
3. 제언 64

more